윤관석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더불어민주당·인천남동을)이 4일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을 통해 정부에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최적지를 선정하는데 반도체 패키징부문 생태계가 있는 인천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이날 경제분야 대정부질문 2번째로 단상에 올라 한덕수 국무총리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을 상대로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을 했다.
윤 위원장은 “정부가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최적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술·성장·성공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패키징부문 생태계가 국내 최고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 인천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 위원장은 산업부 장관에게 '인천지역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촉구 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국가 경제안보 및 미래산업에 대한 초격차 확보 등 국가 전략 달성을 위해 인천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
특히 윤 위원장은 한 총리에게 지난 3월 정부가 발표한 경기도 용인시에 710만㎡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와 관련, 상반기 발표 예정인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가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전달했다.
그는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최적지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 기계적으로 지역을 배분하기보다는 무엇보다 기술패권경쟁 시대에 기술·성장·성공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선정해야 국가미래산업을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하는 등 인천 반도체특화단지 유치 노력에 힘을 보탰다 .
이와 함께 윤 위원장은 이번 대정부질문을 통해 한·일 정상회담 빈손·굴욕 외교 문제 등 정상회담 득과 실을 짚어봤다. 또 미국 반도체지원법 관련 안일한 정부 대응, 기후위기 역행 정책으로 기업들의 수출경쟁력 약화 우려,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에너지공급 및 지원정책 전무 등에 대해 질의했다.
윤 위원장은 “정부가 경기도 용인에 조성하는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을 유치해 지원하겠다는 대통령 발언이 있었다”면서 “국내 소부장 기업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위원장은 “정부가 차별적인 미국의 반도체법에 대해 수수방관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 방미 시 불평등한 한미 간의 통상 이슈를 정상회담 의제에 포함시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윤 위원장은 “윤 정부가 ‘제1차 국가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있는 임기 동안 감출해야 할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차기 정부에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관련 산업 등에서 우리 기업들이 수출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했다.
더욱이 윤 위원장은 “정부가 내놓은 내수활성화 대책 중 소상공인의 공공요금 지원책과 관련해서는 요금할인, 에너지바우처 등 소상공인업계 요구가 반영되기보다 분할납부 시기가 1~2개월 앞당겨지는 데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소기업 · 소상공인까지 포함한 에너지공급 및 지원정책의 틀을 새롭게 짜야 한다”고 제안했다.
앞서 윤 위원장은 지난달 난방비 폭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가스·전기 등 에너지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소상공인 에너지 지원법’을 대표발의하기도 했다.
윤 위원장은 “글로벌경제위기 속 경제 컨트롤 타워가 실종된 ‘무책임 정부’, 민생경제는 파탄나고 있는데 대책 없는 ‘무능 정부’, 글로벌 탄소중립 흐름 역행으로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무비전 정부’인 ‘3無 윤석열 정부’ 가 국민을 비탄 속으로 밀어 넣고 있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