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염수 방류 임박… 경기도내 수산물 시장 ‘錢錢긍긍’ [현장, 그곳&]

화성 궁평항·수원 농수산물도매시장 등 상인들 “해산물 기피 불보듯” 깊은 시름
설문조사서도 국민 83% “소비 줄일 것”... 道 “빠른 시일 내 종합대책 발표 예정”

image
도내 한 농수산물시장 매대에 진열된 일본산 가리비. 조주현기자

 

“안 그래도 먹고살기 힘들어 죽겠는데,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되면 해산물 사러 누가 오나요.”

 

24일 오전 10시께 화성시 서신면 궁평항 내 수산물 시장. 상인들이 여러 지역에서 온 해산물을 옮겨 담느라 분주한 가운데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소식에 대해 묻자, 한숨부터 내쉬었다. 한 상인은 판매 중인 36종의 어패류 중 일본산 어류가 2종뿐인데도 안전을 걱정하는 손님들이 많아져 수입이 끊길까봐 걱정된다고 격앙된 목소리로 말했다.  20년 넘게 수산시장에서 일했다는 김성혜씨(가명·63·여)는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소식에 앞으로 일본산 어류는 일절 들여놓지 않을 계획”이라며 “오염수 방류가 안 되도록 정부에서 막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역정을 냈다.

 

같은 날 오후 2시께 수원특례시 권선구 권선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의 상인들도 얼굴에 근심이 가득했다. 상인들은 원전 오염수가 방류되면 수산물 오염 여부와 상관없이 해산물 소비가 줄어들 것을 염려하면서 생계에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본 정부가 올여름부터 방사능 물질이 포함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공포감이 커지고 있다. 더욱이 소비자들이 수산물에 대한 기피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수산업 관계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제주연구원이 발표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따른 피해조사·세부 대응계획 수립연구(2022.11)'에 따르면 국민 1천명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의 83.4%가 오염수 방류 시 수산물 소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이에 안동, 사천 등 일부 지자체 시의회에서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해 강력하게 규탄하는 입장을 속속들이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는 아직도 이렇다 할 대책이나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어 경기도민의 걱정은 더욱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경기도 또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부터 절대 안전하지 않다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성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 원전 오염수가 방류되면 오랜 기간 해산물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그 피해가 상당할 것”이라며 “수도권의 핵심을 구성하는 경기도의 1천360만 도민의 먹거리 안전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정책 목표를 정확히 설정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4월 초쯤 경기도의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경기도 지사의 해외 일정이 많아 보고가 늦어지며 계획을 보강하고 교체하느라 발표 시기가 늦어졌다”며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