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엔데믹으로 대면 활동이 늘면서 민간 소비도 증가,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3%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이후 3분기(2.3%)·4분기(1.2%), 2021년 1분기(1.7%)·2분기(0.8%)·3분기(0.2%)·4분기(1.3%), 지난해 1분기(0.6%)·2분기(0.7%)·3분기(0.3%)까지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0.4%)에 수출 부진 등으로 다시 ‘마이너스’ 전환, 올해 1분기에 다시 반등했다.
특히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실내 마스크 해제 이후 여행·공연·관람 등 대면 활동이 늘어나 민간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건설투자도 건물 건설 확대로 0.2% 늘었고, 정부 소비는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0.1% 증가했다.
반면 설비투자의 경우 반도체장비 등 기계류가 줄어 4.0% 감소했다.
수출은 자동차 등 운송장비 호조로 3.8%, 수입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3.5% 각각 늘었다.
전체적으로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0.3%p로 분석됐다. 다만 반대로 순수출은 성장률을 0.1%p 끌어내렸다. 최근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경제 성장에도 타격을 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1분기 ‘플러스 성장’에도 올 한해 국내 성장률 눈높이은 다소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신 국장은 “현재로서는 IT 경기 회복 시점의 불확실성과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등 때문에 연간 성장률 전망치가 소폭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IT 부진도 완화하고 중국경제 회복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