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심하천 생태계 살아날까…올해부터 해마다 정기조사

인천시가 최근 수생태계 건강성 진단을 위해 장수천에 살고 있는 저서동물의 시료를 채집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지속 가능한 수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수생태계 건강성 진단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오는 5월부터 공촌천, 굴포천, 장수천에 살고 있는 저서동물을 조사해 하천의 자연성 회복도를 조사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정기적 생물상 변화 관찰 및 생물다양성 조사 기반을 구축한다. 하천별 환경 특성을 비교하고 서식 환경 개선을 위한 다각적 관리 방안을 찾기 위해서다.

 

시는 이번 조사를 위해 하천에 살고 있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저서동물)을 봄과 가을 2차례에 걸쳐 채집한다. 채집한 저서동물은 출현 종수, 개체 밀도, 오염 민감도 등의 지표로 분석한 후 등급을 평가해 현재 하천의 생태적 온전성 단계를 파악한다.

 

시는 올해부터 정기적으로 저서동물을 이용한 생태 평가를 할 계획이다.

 

앞서 시가 지난해 조사한 수생태계 건강성 예비 조사 결과, 주요 하천에 나타난 저서동물 38종 1만5천835개체를 평가한 건강성 등급은 대부분 ‘매우나쁨(E)’을 나타냈다. 이는 환경부의 2019~2021년 한강권역 도시 하천 생태 건강성 조사 결과와 유사했다.

 

공촌천 상류 등 일부 지점에서 나온 ‘보통(C)’ 등급 이상의 결과는 생태 회복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이에 시는 현재 건강성 회복 정도가 하천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권문주 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우리 하천의 생태 회복은 반드시 이루어야 할 과제”라고 했다, 이어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장기적인 생물종의 변화와 수질에 대한 관찰을 통해 하천의 생태 건강성을 파악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수생태계 건강성은 물 환경의 생태적 적합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서식 생물군의 분포 특성, 오염도에 대한 반응 등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한 생태 중심의 물환경 조사 방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