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같은 밤' 인천 빛 공해 심각…민원 주범 '광고조명' 절반

市 관련 민원 4년새 2.3배 증가
옥외조명 사전심의제 도입 검토
조명환경구역확대… 관리 강화

인천지역 빛 공해 민원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어 인천시가 대책 마련에 나선다. 사진은 기사와 상관없음. 이미지투데이

 

인천지역 빛 공해 민원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인천시가 지난 2018~2021년 빛 공해 민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8년 140건이던 빛 공해 민원은 2019년 208건, 2020년 286건, 2021년 328건으로 4년만에 2.3배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같은 기간 남동구가 307건으로 가장 많고, 부평구 240건, 서구 149건 등의 순이다. 시는 이들 지역이 관광지 및 상가 등을 오가는 유동인구가 많아 민원이 잦은 것으로 분석했다.

 

빛 공해를 일으키는 조명은 광고 조명이 513건(53.3%)으로 전체 민원의 절반을 넘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공간 조명이 190건(19.8%), 기타 조명이 185건(19.2%), 장식 조명이 74건(7.7%)이다. 광고 조명으로 인한 민원 513건 중 남동구가 227건(44.2%)으로 가장 많다.

 

이 같은 빛 공해는 시민들의 수면장애는 물론 생활불편, 눈부심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또 공간 조명 등은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어 빛 공해 체감률이 높다.

 

특히 이 같은 광고 조명은 초과율이 환경부의 빛 방사어용기준(30%)를 넘는 49.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의 전체 초과율 45.9%보다도 높다. 장식 조명도 초과율이 59.3%에 이른다.

 

인천지역 빛 공해 민원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어 인천시가 대책 마련에 나선다. 사진은 기사와 상관없음. 이미지투데이

 

이에 따라 시는 최근 빛 공개 방지 및 관리 계획을 마련하고 오는 2027년까지 초과율을 30%대까지 낮추기로 했다.

 

시는 우선 옥외조명 사전 심의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조명기구 선정·설치 단계부터 빛 공해를 평가·관리하겠다는 것이다. 현재는 조명 설치 이후에 환경부 기준 준수 여부를 규제하고 있다.

 

시는 또 조명환경관리구역도 확대 지정한다. 시는 우선 산업단지와 중심상업지구에 대한 빛 공개 관리를 강화한다. 중심상업지구는 도시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생기는 만큼, 빛 공개 민원이 더욱 많다. 시는 신규 야간 조명 설치 확률이 높다고 보고 빛 공해에 대한 선제적 중점 관리에 나선다.

 

시는 이 밖에 군·구별 빛 공해 우선개선지역 30곳을 선정해 빛 공해 개선 사업을 펼치고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빛 공해 저감 컨설팅 사업 등도 한다

 

시 관계자는 “과도한 조명을 친환경적으로 관리해 시민들의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 이번 계획의 핵심”이라고 했다. 이어 “빛 공해를 줄이는 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는 만큼, 군·구 대상 교육 등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