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무장애 어린이 놀이터 조성 시급…지속협, 25일 토론회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25일 상상발전소에서 ‘무장애 어린이놀이터 조성방안 토론회’를 했다. 이병기기자

 

인천지역의 모든 아동들의 놀 권리를 위해서는 무장애 놀이터 조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25일 상상발전소에서 ‘무장애 어린이놀이터 조성방안 토론회’를 했다. 이번 토론회는 ‘모든 아동의 놀 권리, 쉴 권리를 위한 놀이터’를 주제로, 아동친화도시 조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포용 도시문화를 위해 마련했다.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놀이터는 모든 아동이 누려야 할 권리의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모든 아동은 차별 없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놀이터 공간과 설비는 무장애 통합놀이터, 나아가 보편적인 놀이터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소준영 부천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교수는 “지난해까지 인천의 통합 놀이터는 3곳으로, 이제 시작 단계”라며 “인천시는 무장애 통합놀이터 조성비용과 이용률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시점인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시는 지역사회에 협력 분위기를 조성하고, 통합놀이터 등의 필요성을 홍보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 조례를 수립하고, 전담 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더불어민주당 황미라 인천 부평구의원(바선거구)은 “부평구는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장애·비장애아동이 구분 없이 함께 뛰어놀 수 있는 무장애통합놀이터는 1곳도 없다”고 했다. 이어 “독일에는 무장애통합놀이터라는 표현을 거의 쓰지 않는데, 모든 놀이터가 통합놀이터로 조성돼 있기 때문”이라며 “인천도 ‘통합’ 표현을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많이 만들어야 한다”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