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만 물막이판 등 방지시설설치 풍수해보험 가입은 집계도 안돼
올 여름 우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지난해 침수 피해를 입었던 경기도내 반지하 가구의 침수 방지 시설 설치와 풍수해보험 가입 비중이 낮아 재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침수 방지 시설이 설치된 반지하 가구는 전체의 6% 정도에 불과하고, 주택 풍수해보험은 전체 가입률이 25%선인 데 더해 반지하 가구 등 위험 주택 가입률은 집계조차 되지 않기 때문이다.
20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31개 시·군 전역에 위치한 반지하 주택 수는 8만7천914가구다. 이중 재건축을 앞두고 있거나 비교적 고지대에 위치해 침수 피해 위험이 적은 가구를 제외한 8천여가구는 실제 피해 이력이 있거나 위험이 커 시설 설치가 시급하다고 분류된 상태다.
하지만 지금까지 도내 물막이판, 배수펌프 등 침수 방지 시설 설치를 신청한 가구 수는 절반 수준인 4천588가구, 설치가 완료된 반지하 가구 수는 510여가구에 불과한 상태다.
침수 방지 시설 설치가 수해 발생 또는 예정 주택이라는 낙인 효과를 가져와 주택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집주인 우려가 작용해 신청부터 원활히 진행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도는 재난관리기금 68억3천만원을 이들 4천588가구에 대한 사업비로 책정했지만, 일부 시·군에서 ▲수요조사 ▲기부금 교부 ▲공사 발주 지연이 발생했다.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될 예정임에도 현재까지 신청 가구 대비로는 11.16%, 전체 침수 위험 가구와 비교하면 6.4% 정도만 대비가 된 셈이다.
수해 대비책인 풍수해보험도 상황은 비슷했다.
올 상반기 기준 도내 주택 풍수해보험 가입률은 25% 수준으로, 전국 평균(27%)보다 2%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지하, 저지대 등 ‘재해취약지역’으로 분류된 주택은 1만229가구 규모지만 이들 주택의 보험 가입 여부는 현재까지 확인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주택 풍수해보험은 정부와 지자체가 가입비의 70% 이상을 지원하고, 재해취약지역은 100%를 지원하지만 낮은 인지도 탓에 가입률이 저조한 상태다.
도내 한 시·군 관계자는 “도로부터 지역 내 재해취약지역, 취약계층 주택 보험 가입률 확인과 미가입 가구 현장 방문 및 가입 독려 요청을 받아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며 “이달 중 보험 가입률 규모 파악과 함께 침수 방지 시설 설치, 급작스런 침수 상황에 대비한 수방자재 및 위험상황 알림 체계 구비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