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참여 약국 99곳 중 64곳 ‘0건’ 소규모 약국 “업무 바빠, 소극적”... 식약처 “홍보·예산 확보 등 개선”
의료용 마약류 사용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추진 중인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에 참여하는 약국 10곳 중 6곳 이상이 수거 실적이 ‘0건’으로 집계되는 등 저조한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
29일 식약처의 ‘2022년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 결과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사업에 참여했던 도내 99곳의 약국 중 64곳의 수거 실적이 0건인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식약처는 가정에서 복용하고 남은 의료용 마약류가 불법 오남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정 내 수거·폐기 사업을 지난해 7월부터 시행했다. 경기지역 99곳 약국이 해당 사업에 참여했다.
사업 결과.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모두 9천24개, 555kg의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를 수거·폐기됐다. 주로 사용기한이 지난 마약성 진통제와 수면유도제 등이다.
하지만 해당 수치는 사업 참여 약국 99곳 중 35곳의 수거·폐기량에 불과하다. 나머지 64곳은 사업 기간 수거 실적이 단 한 건도 없었다.
이는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에 대한 국민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식약처가 지난해 11월 사업에 참여한 99곳의 약국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조사 결과, 약사의 71.8%가 마약류 반납을 위해 약국을 방문하는 월평균 인원이 0.5명 이하라고 답했다. 월평균 인원이 가장 많았던 경우도 2명을 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약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를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청한 한 약국 관계자는 “약국을 혼자 바쁘게 운영하다보니, 수거한 마약류 품목을 시스템에 입력하지 못해 실적에 들어가지 못했다”면서 “한 달에 10만원 정도 받았던 참여 수당에 비해 수거된 의료용 마약류를 소각하고, 반납 사유 등을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이 오래 걸려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했던 것도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의료용 마약류를 약국에서 수거·폐기한다는 사실을 알릴 구체적인 홍보방안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정근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장은 “가정 내에 방치된 마약류가 재사용되거나 오남용될 때 2차 피해가 우려될 수 있어, 사업에 대한 다각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의료용 마약류 수거 사업에 참여하는 약국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등 사업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 관계자는 “지난 5월부터 부천 시내 100곳의 약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은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며 “향후 전국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때는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수당 등을)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