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부권 광역소각장 입지 선정 ‘숨 고르기’

영종 성난 민심 달래고 수용성확보 모색
입지위 주민대표, 지역민 6명까지 늘리고... 소각장 후보지 5곳 공개 방안 등도 검토
공론화 적극적 추진, 간담회·견학 계획... 숙원사업비 등 행·재정적 인센티브 협의

인천 남동구 구월동 본관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서부권 광역자원순환센터(소각장) 위치 선정에 대해 속도 조절에 나선다. 소각장 위치를 둘러싼 영종지역의 반발이 극심, 수용성 확보 방안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현재 종전 입지선정위원회(입지위) 주민대표를 영종지역 주민으로 최대 6명까지 늘리는 방안과 소각장 후보지 5곳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해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오는 26일 열릴 서부권 광역자원순환센터(소각장) 입지위 회의를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시 관계자는 “서부권 입지위의 주민 대표가 사퇴를 한 상황에서 더 끌고 가기는 무리가 있다”며 “우선 주민 간담회와 소통을 통해 수용성을 높일 생각”이라고 했다. 

 

앞서 시는 2021년 11월부터 7회에 걸쳐 서부권 광역 소각장 위치를 정하기 위한 입지위를 운영했다. 입지위는 지난달 28일 열린 6차 회의에서 위원 표결을 통해 예상 후보지 11곳 중 5곳을 추려냈다. 그러나 후보지 5곳이 모두 영종 지역에 몰리면서 주민 반발에 부딪혔다.

 

이에 따라 시는 주민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우선 시는 입지위의 중구 주민 대표 2명이 사퇴함에 따라 주민대표를 영종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재배치한다. 시는 최대 6명까지 영종 주민으로 구성할 수 있는 만큼, 영종 주민들의 건의사항과 요구사항 등을 협의할 수 있는 창구를 확보할 방침이다.

 

또 시는 서부권 광역소각장 후보지 중 영종지역 주민과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적의 입지를 정하기 위해 간담회 및 견학을 추진한다. 시는 영종지역 주민 및 단체들과 지속적인 간담회를 열고, 지역 설명회에 나선다. 이 과정에서 시는 후보지 5곳에 대한 공개와 함께 공론화를 적극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이어 소각장의 선진사례로 꼽히는 하남 유니온파크와 아산·평택의 주민편의시설 견학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소각장 설치에 따른 혜택과 주민편의시설의 형태, 주민숙원사업비, 주민지원기금 등 행·재정적 인센티브에 대한 협의도 시작한다. 해마다 100억원에 이르는 반입협력금 제도에 대한 논의도 포함한다.

 

다만 시가 1번째로 추진한 광역소각장 입지 논의를 잠정 중단하면서 동부권과 북부권·남부권 소각장의 설치 및 현대화 과정에서도 주민 반발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경기일보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자원순환센터는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며 “영종지역 주민들의 주민 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이어 “지역 주민과 충분히 소통해, 주민이 공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