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상인 토지보상 놓고 대립... 투기세력에 혼란 가중 국비 60억원 페널티 적용 탓 반납 ‘답보’… 정상화 온힘
인천 동인천역 일대의 원도심 활성화를 꾀하는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 사업 정상화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토지 보상 및 도시재생활성화구역 해제 등에 어려움이 여전한데다, 일부 투기 세력까지 움직이며 상인들이 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iH) 등에 따르면 시는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의 정상화를 위해 송현 자유시장(양키시장) 매입을 위한 보상 논의를 하고 있다. 앞서 시는 제1차 추가경정예산에 365억원의 보상비를 확보했다.
하지만 시와 상인들의 보상가 관련 의견 차이가 커 여전히 협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양키시장의 운영 법인인 중앙상사㈜는 시에 3.3㎡(1평) 당 약 3천만원의 협의 보상에 대한 의사를 전달했다. 반면 시는 법적으로 감정평가에 의한 보상가액은 3.3㎡당 1천만원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앙상사가 법인인 탓에 보상가의 42%를 세금으로 내야 하는 만큼, 감정평가에 의한 보상금액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요구하는 셈이다. 종전 사업 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도 앞서 지난 2020년 이 같은 이유로 일부 상인들이 보상에 반발해 어려움을 겪다 결국 사업이 백지화했다.
특히 최근 투기 세력의 개입으로 인해 상인들이 혼란도 겪고 있다. A업체는 최근 보상 논의가 본격화해지자, 상인들의 지분 1주당 280만원에 매입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이들은 중앙상사의 지분 70%에 이르는 총 7천주 매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상사의 의사결정권을 확보, 직접 시와 보상 문제에 대해 나서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시와 iH가 본격 보상 및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종전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도시재생 활성화사업의 국비를 반납해야 하지만 이 또한 쉽지 않다. 최근 시는 국토부를 방문, 도시재생 활성화사업으로 쓴 국비 60억원을 반납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국토부가 ‘국비 반납에 따른 패널티를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더이상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와 iH는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 정상화를 위해 머리를 맞댈 방침이다. 이들은 다음달 중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하고, 구체적인 개발 구상 협의에 나선다.
이를 위해 iH는 최근 사업비 5억6천여만원의 ‘원도심 활성화 전략후보지 사업화방안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iH는 이 용역을 통해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의 주요 원도심 지역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찾고,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 사업의 참여 여부와 추진 방식을 살필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안에 보상 업무를 마치려고 서두르다가 자칫 일이 틀어질 수 있어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며 “원도심 활성화의 주요한 지점인 만큼 제대로 매듭을 풀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20년부터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를 추진, 약 7만9천㎡를 대상으로 공영개발을 계획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