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재철 한국쿠제 대표이사 “ESG 모르면 기업 성장 못하는 시대”

엄재철 대표이사(60). 한국쿠제 제공

 

“ESG를 모르면 기업이 성장하지 못하고 투자자는 돈을 벌 수 없는 시대가 됐습니다.”

 

엄재철 한국쿠제 대표이사(60)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부각하면서 ESG경영이 화두로 떠오른 지금의 상황에 대해 이같이 평했다.

 

평택 포승산단 외국인투자단지 내에 위치한 한국쿠제는 100% 외국인 투자기업이다. 지난 2007년 설립, 2008년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그는 엔도 고로시로(遠藤幸四郎) 제1대 대표이사에 이어 제2대 대표이사로 한국 쿠제를 이끌고 있다. 동시에 ESG 경영을 위한 점진적 변화를 꾀하는 중이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며 ESG경영이란 매출과 영업 이익 등 재무적 성과만이 아닌 비재무적 성과도 함께 고려하는 경영구조다. 

 

기업이 얼마나 사회적・윤리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는 “친환경적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투명하게 경영하는 지표인 ESG가 우리 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대표적인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쿠제는 최근 ESG경영 전담조직을 만들고 평가지표 검토에 착수했다.

 

올해 상반기 한국표준협회의 도움을 받아 임원과 부서별 부서장, 부서별 키맨으로 이뤄진 ESG경영 전담조직을 구성했다.

 

한국쿠제는 이 조직을 시작으로 ESG경영을 점진적으로 이행하고자 중견·중소기업 ESG경영 성과 데이터 관리를 위한 K-ESG 가이드라인 기본 진단항목을 정보공시(P),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로 4개 영역, 17개 범주, 27개 기본 진단항목으로 나눠 평가지표를 검토 중이다.

 

올해 하반기엔 정보공시, 환경, 사회, 지배구조 4개 영역 중 우선 환경적 차원에서 포장박스를 친환경적으로 바꾸는 것을 검토할 예정이다.

 

그는 “전사적으로 ESG 인식의 저변 확대를 꾀하고자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한국표준협회를 통해 교육 받으면서 ESG 확산 원년으로 삼게 됐다”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여성 구성원 비율이나 정규직 비율, 구성원 봉사참여 등도 평가지표에 맞게 바꿔 나가기 위해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2030년 내 ESG 정보공시를 목표로 ESG경영 전담조직이 전사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