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여성 임원' 비중 6.9%…5년 새 2배 ↑

카카오 1위...임원 수로는 삼성 157명으로 가장 많아 

리더스인덱스 제공

 

우리나라 30대 그룹의 ‘여성 임원’ 비중이 5년 사이 2배 이상 늘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자산 상위 30대 그룹 계열사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265개 기업의 여성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결과 올해 1분기 말 이들 기업의 여성 임원은 726명으로, 전체 임원(1만561명) 중 6.9%를 차지했다.

 

아직 10명 중 1명도 채 안 되는 수준이긴 하나, 2018년 1분기(271명)보단 455명 늘은 셈이다. 여성 임원 비중 역시 5년 전(3.2%)보다 3.7%포인트(p) 상승했다.

 

또 2018년 1분기에는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그룹이 8곳이었지만, 올해 1분기에는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그룹은 HMM이 유일했다.

 

이와 함께 올해 1분기 30대 그룹 265개 계열사에서 여성 임원이 없는 곳은 86곳(32.4%)으로 나타났다. 5년 전에는 조사 대상 중 여성 임원이 없는 곳이 188곳(70.9%)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8월부터 시행된 개정 자본시장법의 영향이 더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개정 자본시장법이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의 이사회를 특정 성(性)이 독식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어서다.

 

아울러 여성 임원 비중이 가장 큰 그룹은 카카오그룹이었다. 카카오 6개 계열사 임원 84명 중 여성은 19.0%에 해당하는 16명이었다. 이어 여성 임원 비중은 ▲네이버 18.8%(26명) ▲CJ 15.0%(48명) ▲신세계 13.7%(25명) 등 순으로 컸다.

 

여성 임원 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삼성이었다. 삼성 22개 계열사 임원 2천97명 중 여성은 157명(7.5%)으로 집계됐다. 이어 ▲SK 88명(7.8%) ▲LG 78명(7.4%) ▲현대차 69명(4.9%) ▲롯데 53명(8.5%)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미등기 여성 임원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30대 그룹의 미등기 임원 중 여성 임원은 2018년 1분기 243명에서 올해 1분기 546명으로 증가했다. 미등기 임원 전체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3.4%에서 6.2%로 2.8%p 상승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