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공공기관·지인 등 사칭 메시지 증가

이미지투데이

 

추석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이나 지인의 명절 인사 등으로 위장한 사기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1일 이같은 문자사기 등으로 인한 피해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3년간 스미싱(문자사기) 피해 현황을 분석해 보면 택배 배송 사칭이 65%(약 28만 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공공기관 사칭이 25%(약 11만 건), 지인 사칭 7%(약 3만 건) 등이 뒤를 이었다.

 

공공기관, 지인 등을 사칭하는 유형이 올해 급증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이번 추석 연휴에도 고향 방문 등 차량 이동을 틈탄 교통위반 범칙금 조회나 지인 안부인사 등을 사칭하는 악성 문자도 지속 유포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실수로 모바일 상품권이나 승차권 증정 같은 내용의 문자나 메신저에 적힌 URL(인터넷 주소)을 누르게 되면 공격자가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악성 앱이 설치돼 상당한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정부는 국민들이 편안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과 협력해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문자사기 감시와 사이버 범죄 단속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또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PC와 모바일 기기의 정보보안 수준 및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도록 KISA '보호나라' 사이트에서 '내 PC·모바일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이동 통신사와 함께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주의 안내 문자 메시지를 순차 발송 중이다.

 

사이버범죄 피해를 본 경우 112나 '보이스피싱 지킴이'에 신고하면 24시간 무료로 상담받을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