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12명·전문가 2명 등 분석 수학 15.2% 교육과정 벗어나 교육부 “킬러문항 배제” 일축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초고난위도 문제인 이른바 ‘킬러문항’을 배제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이를 반영한 9월 모의평가에도 킬러문항이 존재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더불어민주당 강민정·강득구 의원과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치러진 모의평가 중 수학영역에서 총 46문항 중 7문항(15.2%)이 교육과정을 벗어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문항들은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 자체를 벗어났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번 분석은 수학영역 전체 문항에 대해 고교 수학교사 12명과 교육전문가 2명, 사교육콘텐츠 전문가 2명 등이 참여했다. 주요 분석 내용은 교육과정 성취기준이나 평가기준에 명시된 사항을 벗어났는지 여부와 해당 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을 출제했는지, 상위 단원 내용이나 대학 과정의 내용을 출제했는지 등이다.
세부적으로는 10번 문제의 경우 삼차함수식을 찾아 함수값을 구하는 문제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는 있지만 현재는 배우지 않는 내용으로 기준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났고, 15번 역시 마찬가지다. 또 수학 공통 21번은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수학 기호를 사용했고, 공통 22번은 특정 선택과목을 택한 학생에게만 유리했고, 공통 12번은 대학 과정의 내용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미적분에서 28번은 교육과정에서 벗어났고, 30번은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해 계산 실수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결과는 9월 모평 당시 EBS가 내놓은 분석과는 대조적인 것으로, 당시 EBS는 킬러문항이 배제됐다고 발표했다.
한편 이날 교육부는 이 같은 발표에 대해 “9월 모의평가에 킬러문항이 배제됐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며 “공교육 밖 문제를 볼 필요없이 EBS를 참고해 집중하면 수능에서도 얼마든지 본인이 원하는 성적을 거둘 수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