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으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최근 5년간 수면장애/비기질성 수면장애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수면장애를 앓고 있는 인원이 지난해 처음 110만명을 육박했다.
수면장애는 비기질성 수면장애와 관련한 악몽, 수면 야경증, 몽유병을 제외한 신경계·척수 부위와 관련된 불면증, 과다수면장애 등을 말한다.
연도별로 보면 지난 2018년 91만606명, 2019년 99만8천795명에서 2020년 103만7천279명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어 2021년 109만8천980명을 기록했고, 지난해는 116만3천73명으로 11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수면장애와 비기질성 수면장애로 진료받은 인원은 5년 전인 2018년과 비교해 25만2천467명이 증가했다. 27%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기준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총 81만4천136명으로 전체 인원의 약 70%를 기록하며, 대부분을 차지했다.
구체적으로는 ▲60대 26만6천925명(22.9%) ▲50대 21만8천627명(18.7%) ▲70대 19만6천058명(16.8%) ▲40대 16만3천467명(14%) ▲80대 이상 13만2천526명(11.3%) ▲30대 10만9천944명(9.4%) ▲20대 6만4천788명(5.5%) ▲10대 8천623명(0.7%) ▲10세 미만 2115명(0.18%) 등 순이었다.
수면장애 치료에 들어간 진료비는 2018년 1천526억에서 2022년 2천852억으로 약 1천326억(87%)이 증가했다.
◆ 수면을 돕는 음식들
▲ 우유
우유에 함유된 성분인 트립토판은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해 신경 안정 효과를 가져다 준다. 특히 우유를 따뜻하게 데워마시면 편안하게 잠들 수 있다.
▲ 바나나
바나나는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근육을 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잠 들기 전 긴장감 해소에 효과적이다.
▲ 호두
호두에는 생체리듬을 조절해주고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멜라토닌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 대추
대추 속에는 판토텐산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는 코르티솔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해 스트레스 지수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심장 기능을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초조, 불안함을 느껴 잠에 들지 못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준다. 따뜻한 차로 만들어 마시면 좋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