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 헬기 노후화 심각… 포천 추락사고 예견된 ‘인재’

도내 18대 중 17대… 20년↑ 연식
감항검사 통과시 제한 없이 운항
오래된 기종 ‘전문가 관리’ 필요
국토부 “관련 법·제도 마련 노력”

지난 3일 오후 포천시 고모저수지에서 소방 관계자들이 수색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 8분께 민간헬기가 추락해 수심 15m 내외의 저수지에 잠겨 있다. 경기일보DB

 

최근 포천에서 산불 방재 훈련 중이던 노후 민간 헬기가 추락해 기장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경기지역에서 운용 중인 임차 헬기들 중 단 1대를 제외하고 모두 노후화된 헬기로 확인됐다.

 

더욱이 30년 이상된 노후기종은 물론 40년이 넘는 기종도 있어 철저한 점검을 하는 등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국토교통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각 지자체는 봄철(2~5월)과 가을철(11~12월) 산불 방지, 진화 및 예방 계도 활동 등을 목적으로 민간 헬기를 임차한다. 올해는 수원, 용인, 성남 등 23개 시·군에서 18대의 민간 헬기를 임차했다.

 

문제는 각 지자체에서 임차한 대부분의 민간 헬기가 노후화된 기령이라는 것이다. 통상 항공기 기령이 20년이 넘으면 노후 항공기로 분류된다. 부품 금속의 색과 특성 등이 변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지난 3일 포천시 소흘읍 고모저수지에서 추락한 사고 헬기는 홍익항공 소속 AS-350(6인승) 기종이다. 지난 1980년 제작, 기령이 43년된 노후 헬기로 확인됐다.

 

도내 임차 헬기 중 20년 이상 지난 헬기는 18대 중 17대이며 이들 헬기의 평균 기령은 31.7년이다. 또 40년 이상된 헬기는 27.7%(5대)에 이르며 가장 오래된 헬기는 가평군이 임차한 S-61N 기종으로, 기령은 48년에 달한다.

 

이에 국토부는 올해부터 헬기 안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비행기록 장치 장착, 감항검사 강화, 안전관리 강화, 조종사 교육 훈련 강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감항검사만 통과하면 연식에 제한 없이 운행할 수 있다. 또 헬기를 임차하는 각 지자체는 헬기 대부분이 노후화되거나 기종이 다양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노후 헬기를 임차하는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관련 전문가를 두는 등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장룡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단순히 헬기의 성능만 강화한다고 해서 100% 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 연수가 오래된 기종의 경우 부품의 교환 등 전문가의 관리가 철저하게 필요하다”며 “정부와 관련 기관이 나서 노후화된 헬기에 대해 정확한 점검과 안전관리가 이뤄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단순히 헬기의 연식이 오래됐다고 모두 위험하다고 판단해서 폐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관련 법 개정과 제도 마련 등을 통해 헬기 안전 점검 및 관리 강화에 나서겠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