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비상' 버스·지하철 파업 예고… 경기도 '패닉'

협상 불발땐 26일 도내 1만700대 운행중단
서울교통公 노조, 내달 9일 총파업 선언에
“비상 수송대책 역부족… 출근길 대란 우려”

경기도내 시내버스 차고지. 경기일보DB

 

사상 초유의 경기도내 시·군 버스 총파업 위기를 맞아 비상 대책을 마련 중인 경기도가 ‘서울 지하철 총파업 예고’라는 2차 악재까지 겹치자 ‘패닉’에 빠진 모양새다.

 

통상 일부 지역 노선이 파업으로 중단되면 지하철과 연계한 대체 버스를 투입하는 게 일반적인 대응인데, 이번에는 31개 시·군 동시 파업이 예정된 데다 핵심 활로인 지하철마저 타격이 전망돼서다.

 

1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는 오는 26일 예고된 한국노총 전국 자동차 노동조합연맹 경기도 버스 노동조합 협의회(이하 협의회) 총파업에 대비하는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 최근 시·군별 1차 점검을 실시했다.

 

협의회는 경기도에 민선 8기 임기 내 전 노선 준공영화, 운전 기사 처우 개선을 요구 중이며 오는 25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최종 조정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전체 버스 노선의 93%에 해당하는 1만700여대 운행 중단을 선언, 이날 파업 결의대회를 실시했다.

 

이에 도는 총파업 시 노선별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시·군별 지하철역과 주요 지역을 대체 노선 탑승 거점으로 지정하고 ▲500대 규모 관용·전세 버스를 투입해 거점 간 순환 운행을 전개하면서 ▲버스 정류장 택시 집중 투입과 마을버스 추가 운행을 병행하기로 계획한 상태다.

 

하지만 이날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기자회견을 열고 다음 달 9일 총파업을 선언, 양 노조 파업이 겹칠 시 도의 수송 대책은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이에 도는 19일 열리는 경기도 노·사·정 협의회와 20, 25일 두 차례 예정된 지노위에서 모두 참여해 노사 중재와 협의회 파업 예방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김동연 지사도 전날 국감에서 파업 대응 방안에 대한 질의에 대해 “노조(협의회) 측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도 관계자는 “도내 전역에서 1만여대 버스가 총파업을 예고한 만큼 현실이 될 경우 도가 강구한 대책으로는 대혼란을 막기 역부족”이라며 “버스 증차 등 대책 보완을 지속하고 있지만 노사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을 최대 과제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