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생활’ 앱 희망지역 입력하면... 고시원·쉐어하우스 등 ‘주르륵’ 3D룸투어·옵션·성별 검색 가능... 인천지식재산센터 특허 조언 큰힘
기업들의 생명은 특허 등 기술 확보에 있다. 기술력을 인정 받기 위해선 특허가 필요하지만 비용이 문제다. 특허 1개를 출원하는 데도 비용은 수백만원대일 뿐만 아니라 절차도 복잡하다. 유사 사례를 분석하고, 서류를 준비하는 과정도 만만치 않다. 인천지식재산센터가 이 같은 난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 등 인천지역 기업들을 적극 돕고 있다. 센터로부터 도움을 받는 인천지역 기업들을 직접 만나 지원 효과와 앞으로의 운영 철학 등을 들어본다. 편집자주
햇살 방, 습하지 않는 방 찾아요… ㈜고수플러스, 방 찾는 플랫폼 개발
‘독립생활’이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켜고 희망하는 거주지 인근의 주소를 입력하면 지도 화면에 고시원·쉐어하우스·오피스텔 등의 목록이 뜬다. 방을 구할 때 쓰는 다른 앱과 달리 ‘햇살이 많이 비추는 집’이나 ‘습하지 않는 집’이란 옵션이 눈에 띈다. 통상 앱들은 보증금과 월세 금액 여부만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게다가 남성·여성 전용 뿐만 아니라 나이대 등의 옵션까지 설정해 원하는 방을 검색할 수 있는데다, 3D룸투어로 숙소의 구조와 세탁기·냉장고 등의 옵션 여부를 비롯해 건물 전체 곳곳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독립생활 앱의 기능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Deep-Tech)로 구현한 혁신적 기술이다.
이와 함께 실제 거주 후기를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을 고를 수 있는 기능은 물론,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 숙소의 소음에 대한 불만이나 어려움 등을 수시로 확인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직접 앱을 통해 월세 등의 결제도 가능, 금융거래의 안전성도 확보했다.
인천 남동구에 있는 ㈜고수플러스는 숙소측과 협약을 맺어 확보한 각종 정보를 이 기술을 통해 앱의 옵션으로 만들어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이 자신에게 맞는 방을 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박영은 고수플러스 대표이사는 “청년층의 거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한 플랫폼 개발에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취향을 가진 이들에게 본인이 선호하는 숙소를 연결해주는 것이 독립생활 앱의 목표”라고 말했다.
현재 이 앱을 통해 직접 결제한 회원의 절반은 20대 여성 회원이 차지하고 있다. 아무래도 여성들이 방을 구할 때 각종 조건을 꼼꼼하게 살펴보는데, 독립생활 앱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해줬기 때문이다. 박 대표이사는 “인턴을 하거나 회사에 근무하기 위해 온 1~2개월의 단기 방을 찾는 이용객이 많다”며 “구체적인 옵션이 많을 수록 좀 더 쉽게 편안한 방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수플러스는 앱의 개발 과정에서 인천지식재산센터로부터 특허에 대한 조언과 지원을 받았다. 중소기업IP바로지원을 통해서다. 센터의 도움으로 전문가로부터 글로벌 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전략 컨설팅부터 네임, 로고 디자인 개발, 상표 출원 등을 지원받았다. 이를 통해 박 대표는 “신규브랜드를 런칭하고, 기업의 대표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었다”며 “스타트업이다 보니 특허 업무를 맡는 담당자를 두기 힘들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고수플러스는 앞으로 딥-테크를 이뤄내기 위한 자료 축적과 더욱 빠른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AI를 개발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특허등록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도 센터와의 협업을 늘려나날 계획이다.
박 대표는 “청년들이 원하는 곳에서 자유롭게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찾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1인 가구의 방이 쓰레기로 쌓이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찾고 있다”며 “수시로 이용자들과도 만족도 조사 등 커뮤니케이션을 늘려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