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늘어나는 길잃은 경기도 '치매환자'…"보호해 주세요"

최근 5년 도내 실종 환자 매년 늘어
인지능력 떨어져 사고 위험 노출
배회감지기·어르신 인식표 태부족
道 “적극 홍보로 실종 예방 총력”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매년 경기도에서 실종되는 치매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매환자는 인지능력이 크게 떨어져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는 만큼 ‘길 잃은’ 치매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1일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도내 치매환자 실종 신고 건수는 2018년 3천137건, 2019년 3천278건, 2020년 3천299건, 2021년 3천376건, 2022년 3천72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 6월까지만 해도 1천83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실종된 치매환자 중 대부분은 경찰 등에 구조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만 아직 찾지 못한 사례도 있다. 올해 6월 기준 5년 이상 된 장기 실종자는 11명에 이른다. 기간별로는 5년 이상 10년 미만은 5명이며 10년 이상 20년 미만은 6명이다.

 

치매환자의 경우 언어능력, 기억력, 판단력, 시공간 파악능력이 저하되면서 길을 잃고 배회하거나 낙상사고 등에 노출돼 있다. 또 날씨 변화에 따른 건강 악화 등의 위험도 높다. 실제 8월 파주에서 집을 나간 90대 치매환자가 실종, 당시 30도가 넘는 폭염 속에서 양팔에 찰과상을 입고 신발을 잃어버린 채 4시간 만에 발견됐다. 앞서 지난 6월 양주에선 치매를 앓는 80대 여성이 실종됐다. 이 여성은 6km를 홀로 걷다 여러 번 넘어져 얼굴에 피멍이 들어 있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와 경기도는 치매환자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와 ‘배회감지기’ 등을 보급하고 있다.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는 치매 증상으로 실종될 우려가 있는 환자임을 알리는 스티커로 환자의 옷 안쪽 등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인식표 발급 시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배회하는 치매환자를 발견할 시 경찰청, 보건복지부 등에서 환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배회감지기는 치매환자의 위치를 파악해 가족 또는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다.

 

경기지역에는 올해 9월 기준 총 4천260개의 인식표가 지급됐으며 배회감지기는 172개 보급됐다. 하지만 도내 치매환자(19만4천610명)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오현숙 서정대 사회복지과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치매환자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홀로 길을 잃은 치매환자의 경우 여러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안전에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며 “각 지자체가 실종 예방을 위한 장치를 확대 보급하면서 관련 홍보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정부에 매년 인식표와 배회감지기를 늘려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면서 “치매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홍보 등으로 실종 예방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