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사업 참여자 매년 증가세 사고도 전국 최다… 대책 시급 道 “대부분 인건비… 예산 부족”
#1. 수십년간 운영한 식당이 문을 닫으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된 박순자 할머니(74·가명)는 경기도내 한 복지관에서 추진하는 주방보조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그러나 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식당에서 물건을 옮기다가 발목에 힘이 풀려 골절되는 사고를 당했다.
#2. 노인일자리 사업 중 하나인 등하교 교통안전원으로 활동한 김철호씨(80·가명)도 지난 겨울 등교지도를 하던 중 빙판길에 넘어지는 사고를 당했다. 당시 차량들이 오가던 상황이라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했지만, 마주오던 차량이 멈춰서면서 타박상만 입었다. 그러나 김씨는 아직도 그때를 생각하면 몸이 떨린다고 했다.
노인 취약 계층 보호를 위해 마련한 경기도내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가 해마다 늘고 있지만, 안전 관리 대책은 형식적인 교육 뿐인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등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경기지역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 수는 총 38만778명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5만4천736명, 2019년 7만780명, 2020년 7만4천724명, 2021년 8만9천155명, 지난해 9만1천383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가 늘면서 안전사고 역시 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도내에서 발생한 노인일자리 안전사고는 총 1천25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2018년에 140건에 불과하던 안전사고는 지난해 231건이 발생, 5년 사이 60% 이상 증가했으며 이 중 2명이 사망했다. 사고 유형은 골절(56%)이 가장 많았고 타박상(12%), 염좌(6%) 등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안전관리 대책은 미흡한 상황이다.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대상으로한 정부의 안전교육 규정이 있지만, 세부 지침상 ‘5시간 이상’만 안전교육을 받으면 되기 때문이다.
특히 동절기에는 노인들의 상해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만큼 이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노인의 신체 특성상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안전 교육 이외의 대안이 필요하다”며 “노인일자리 안전사고가 증가하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일자리별 특성에 따른 안전 교육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 사업 수행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어르신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면서도 “정부에서 지원하는 노인일자리 사업 예산 대부분이 인건비로 나가기 때문에 안전관리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