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빈대 발생 사례가 계속 늘어나면서 경기도가 전 시·군 보건소에 예비비 10억원을 투입, 방제와 긴급 점검에 나섰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시·군 보건소에 116건의 빈대 의심 신고가 접수됐으며 확인 결과 실제 빈대가 발생한 사례는 20건으로 판정됐다.
이에 경기도는 즉각 발생 시설에 민간 방역업체를 파견, 방제를 완료했으며 이날 31개 시·군, 49개 보건소에 필요한 방역 예산을 전액 도비로 편성, 교부했다.
각 보건소는 예산을 활용해 고시원, 외국인 노동자 임시거주시설 등 위생 취약 시설을 대상으로 빈대 방제 사전 점검을 진행하며 빈대 발생 시 민간 방제, 소독 약품 구비 등을 전개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도 경기도 각 시·군에 빈대 퇴치를 위한 특별교부세 2억원을 교부하고 방역 물품 구입 등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지난 13일 오병권 행정1부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경기도 빈대 대책본부’를 구성, 운영 중이다.
또 시·군 보건소와 110 국민콜센터를 통해 빈대 발생 신고를 받고 있으며 신고가 접수되면 현장 조사, 전문 방역업체 연결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한국방역협회 경기지회에 등록된 빈대 방역 업체 현황을 각 시·군에 배포하고 빈대 정보집과 카드뉴스 등을 경기도 누리집에 게재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다음 달 8일까지 숙박업소, 목용장업소 등 빈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설에 집중 점검을 전개하며 빈대 발생 시 즉각 방제와 특별 관리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빈대는 감염병을 매개하지는 않지만, 흡혈로 인한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 불편과 알레르기, 심리적 피로감을 주는 해충이다. 1960년대 빈번하게 발견된 이후 살충제 보급 등으로 사실상 박멸됐지만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견되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