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관심·위험군 매년 증가... 이중 절반은 전문기관 치료 못받아 정신과 기록 우려가 가장 큰 이유... 전문가 “치료 설득 방안 마련해야”
경기지역내 정신건강 위기 학생 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들 중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전담기관 연계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2023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 ‘관심군’과 ‘자살위험군’에 해당하는 정신건강 위기학생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관심군으로 분류된 학생은 2021년 2만4천334명, 2022년 2만6천84명이다. 이 가운데 자살위험군은 2021년 4천292명, 2022년 5천166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 검사를 받은 초중고생 49만여명 중 2만8천여명이 관심군이며, 이 중 7천400여명이 자살위험군으로 집계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는 각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학생 정신건강증진사업 중 하나로, 매년 초등학교 1·4학년과 중·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정서·행동상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고 악화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검사다. 1차 선별검사에서 관심군으로 확인된 학생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의료기관 등 2차 전문기관으로 연계돼 심층 평가와 전문 상담 치료를 받게 된다.
하지만 관심군과 자살위험군 학생 2명 중 1명은 전문기관과의 연계 치료를 받지 않는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전문기관에 연계된 관심군 학생은 50%이며, 자살위험군 학생은 54%뿐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신과 진료 기록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것을 우려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거부가 가장 큰 이유라고 지목한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아직도 많은 사람이 정신건강 문제로 상담과 치료를 받을 경우 대입 진학이나, 취업 등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까 봐 걱정한다”며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가 과도한 걱정을 하지 않도록 충분히 설명하고,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안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부모님들이 우려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며 “위(Wee) 센터 등 전문 기관과 연계율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로 회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