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이 15년 만에 ‘경기역사문화유산원’으로 명칭을 변경해 재탄생한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산’의 개념을 도입하고,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을 강화해 경기도의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겠단 취지에서다.
26일 경기문화재단에 따르면 유인택 경기문화재단 대표는 지난 9월26일 ‘경기문화재연구원 기관 명칭 변경안’을 최종 결재했다.
앞서 연구원은 지난 1999년 기전매장문화재연구원에서 출발해 2000년 기전문화재연구원으로 이름을 바꾼 뒤 지난 2008년 경기문화재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해 15년간 이어갔다.
다만 최근 지역의 고유성·독창성 등 지역 정체성 확립이 중요해지고, 지역 브랜딩을 구축해나가려는 등의 노력이 이어짐에 따라 연구원 역시 종전 ‘지정문화재 보존·관리’에 한정된 사업 범위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연구원은 기관 명칭에 ‘역사’를 넣어 사업 범위를 역사 서술, 지역학 연구 등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학 연구·경기도사 편찬·남한산성역사문화관 운영 등의 업무를 맡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지난 4월 ‘국가유산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내년 5월부터는 재화 개념의 ‘문화재’ 용어가 역사·정신 등을 포함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산’으로 변경된다. 연구원은 이 같은 체계에도 발맞추기 위해 선제적으로 기관 명칭에 ‘문화재’ 대신 ‘문화유산’을 넣기로 했다.
명칭이 변경되면 연구원은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해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겠단 계획이다. 또 그동안 지정문화재에 한정해 보존·관리하던 역할에서 나아가 미래 잠재 유산과 비지정문화재까지 포함한 포괄적 보호·관리 체계를 만들겠단 방침이다.
재단은 다음 달 이사회에서 규정 개정에 관한 승인을 받은 뒤 ‘경기문화재연구원 운영 규칙’, 정관 개정 작업에 들어간다. 이후 내년 초 재단의 조직개편과 연계해 연구원의 명칭을 변경할 계획이다.
이지훈 경기문화재연구원장은 “문화재의 보존·관리 역할을 확대해 경기도 내 역사와 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들을 해나갈 것”이라며 “도민들이 경기도의 문화유산을 보고, 느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