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빈곤율 47.8%…2명 중 1명 꼴 年소득도 전체 가구 평균보다 1천만원↓
‘나 혼자 사는’ 가구의 빈곤율이 전체 가구 평균 빈곤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가구 셋 중 하나가 1인 가구인 상황에서 정부가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제2차 통계행정데이터 전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1인 가구 사회보장 수급 실태’ 결과를 발표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빈곤율(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은 47.8%로 전체 가구 빈곤율인 30%보다 17.8%포인트(p) 높았다.
특히 1인 가구 안에서도 ‘노년층’의 빈곤율은 70% 이상, ‘청년층’의 빈곤율은 36.9%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대도시’ 46.3%, ‘중소도시’ 48.5%, ‘농어촌’ 55.9% 등 도심에서 멀어질수록 1인 가구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이와 반대로 소득은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평균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1인 가구의 연평균 시장소득은 1천860만원으로 전체 가구 2천873만원보다 약 1천만원이 낮았다.
더불어 자산 수준이 가장 낮은 ‘자산 1분위’에 속한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은 40% 이상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1인 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률(6.5%) 역시 전체 가구(3.2%)보다 2배 이상 높게 측정됐다.
1인 가구의 생계급여 수급률은 나이대가 많을 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노년층이 14.2%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반대로 생계급여 평균수급액은 노년층이 24.5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수급액이 제일 많았던 청년층의 61.6만원보다 2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쳤다.
이에 대해 ‘청년 1인가구 대응 특별위원회’ 소속 홍선미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1인 가구의 높은 빈곤율은 서비스, 고용 등 각종 사회 분야 및 정책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에 차근차근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현재 특별위원회는 1인 가구 빈곤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사회적 문제에 초점을 두고 맞춤형 정책 수립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며 “상대적으로 정책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1인 가구가 지원 정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해 빈곤율 해소에 나서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민지 이화여대 사회학과 부교수 또한 “아직 우리나라의 법과 제도, 사회복지, 세금 징수, 고용 정책, 주거 정책 등은 다인 가구 중심으로 설정돼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빈곤율을 낮추기 위해 사회 정책 전반을 1인 가구를 포함한 시선으로 점검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