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한,중,일 3개국 여객들이 공항을 이용할 때 국가별 개성이 드러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산업기술연구원은 29일 빠르게 다변화하는 승객들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한 ‘2023 한·중·일 여객 인천공항 이용특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들의 연령대 분석 결과 한국은 51.1%가, 중국은 63.3%가 20~30대인 반면 일본은 40~50대 여성이 전체의 4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공사는 각국의 평균연령 차이가 해외여행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한국인과 중국인은 짐을 들지 않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항버스(리무진)을 선호했으나 철도의 나라인 일본은 정시성이 확보되는 공항철도를 선호했다.
이 밖에 인천공항 내 일반구역에서 이용한 시설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은 체크인 전·후 모두 음식점을 가장 많이 이용했다. 한국인이 인천공항에 오기 전 가장 먼저 확인하는 정보도 공항 내 맛집이었다.
반면, 중국인과 일본인은 ‘카페’를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양한 음료와 세련된 분위기로 한국 여행 코스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돼 버린 한국 스타일의 카페에서 귀국 전 간단한 스낵 및 음료를 먹고 면세구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공항 면세점의 큰손은 중국인으로 나타났다. 중국인들의 공항 내 면세점 방문 후 구매비율은 75%로 3국 중 가장 높았다. 중국인들은 화장품·향수 품목을 가장 많이 구매(56.8%)했으며, 쇼핑 지출액도 1인 평균 약 26만7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일본인의 쇼핑 지출액은 약 16만1천원으로 조사됐다. 일본인은 면세품 구매자들의 과반수가 식품·과자류를 샀다. 공항공사는 여행을 다녀오면 주변에 작은 간식거리를 돌리는 일본인의 문화적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이학재 공항공사 사장은 “코로나19 이후 인천공항을 찾는 고객들의 니즈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서는 변화 양상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마다 조사를 통해 인천공항 이용여객의 행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초개인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