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공공관리제를 도입하는 노선은 이달 중 확정될 전망이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 1차로 1천200대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공공관리제를 도입한다.
이중 시·군을 오가는 시내버스 700대 중 신규·휴업·폐업 노선 등 일부 노선 시내버스를 제외하고 다음 달 1일부터 공공관리제를 시행할 방침이다. 공공관리제를 도입하는 노선은 오는 20일 버스정책위원회를 거쳐 확정될 전망이다.
시·군 내를 운행하는 500대는 시·군이 준비를 마치면 1~7월에 공공관리제를 시행한다. 이에 도는 시·군 부담 600여억원을 제외한 1천300여억원을 내년 예산안에 편성했다.
현재 경기도의 전체 시내버스는 1만500여대다. 이 중 2천700여대 광역버스는 이미 공공버스 등으로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다.
또 1천여대는 국비를 지원 받아 운행하는 벽·오지 노선이나 시·군이 한정면허로 운영 중이다.
나머지 6천100여대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사업 대상이다.
도는 내년 1천200여대에 이어 2025년 1천200여대, 2026년 1천700여대, 2027년 2천여대 등에 공공관리제를 시행할 방침이다.
총 1조1천359억원의 도비가 투입된다.
도 관계자는 "내년부터 2027년까지 공공관리제를 시행하면 사실상 경기지역 전 시내버스를 준공영제로 운영하게 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