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 ‘근현대 건축자산’ 체계적 관리 강화

인천시민애집. 중구 제공
인천시민애집. 중구 제공

 

인천 중구가 개항장 등 지역 내 근현대 건축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19일 구에 따르면 올해 ‘역사성 및 상징성을 간직한 건축자산 관리 및 홍보계획’을 수립했다.

 

건축자산은 고유한 역사·문화·사회·경관적 가치를 지니거나 지역 정체성 형성 등에 기여하는 건축물·공간환경 등을 말한다.

 

현재 인천시 건축자산 총 492곳 중 약 40%인 195곳이 중구에, 특히 원도심 개항장 근대건축물 밀집 지역에 집중 분포해 있다.

 

구에는 옛 시장 관사였던 ‘인천시민애집’을 비롯해 ‘긴담모퉁이집’,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 1970년대 김수근 건축가에 의해 탄생한 ‘개항장 이음 1977’ 등의 다양한 근현대 건축물이 위치하고 있다.

 

구는 개항장 문화지구 내 건축물들이 개항기부터 산업화 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만큼, 이를 특화해 ‘개항장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건축자산 관리 및 홍보계획’을 토대로 지역 건축자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해 건축문화 진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겠다는 목표다.

 

구는 지역 내 건축자산 현황 전수조사를 추진, 관계부서,기관과 해당 내용을 공유하는 등 건축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또 도시정비사업,도시재생사업 등의 대상지 중 건축자산이 있으면 조합·관계부서 등과 협의해 사업구역 내 건축자산 활용 여부를 판단한 뒤 기록화, 이전·보존 등의 구체적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도시재생의 한 수단으로 건축자산 관광 자원화, 역사적 관광지 조성, 복원 등을 추진해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는 상징물(랜드마크)로 삼을 방침이다.

 

김정헌 구청장은 “근대 건축자산의 체계적 관리로 개발과 보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어 “건축자산이 구 원도심 부흥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