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옹진군이 정부가 올해부터 ‘생활인구’ 도입 정책을 추진하면서 인구 유입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기간 머무는 인구까지 지역 인구로 산정하는 ‘생활인구’의 도입으로 주요 기반시설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군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부터 군을 비롯한 인구감소지역에 주민등록 기준으로 지역 인구를 산정하던 방식에서 실제 지역에 체류하거나 오가는 인구를 산정한 ‘생활인구’를 적용한다.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을 통해 도입한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와 등록 외국인 인구를 합한 ‘등록인구’에 통근, 통학, 관광 등으로 하루 3시간, 월 1회 이상 머무는 인구까지 포함한다.
이 때문에 인구감소지역 인구가 크게 늘어날 수 있어 이에 걸맞는 생활인프라나 주요기반시설 등을 갖추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실제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최근 강원 철원, 충북 단양, 충남 보령 등 인구감소지역 7개 곳에 대한 생활인구 시범산정 결과 등록인구 대비 4~8배 이상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행안부는 생활인구 산정 결과를 산단 내 근로자 복합문화센터 건립, 근로자 임대주택 사업, 입주기업 지원 등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행안부 등이 앞으로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을 생활인구로 산정해 각종 지원 사업을 적용할 계획이어서 군이 추진해 온 인구 유입 정책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군은 지난해 3분기(9월)에만 313만4천970명의 관광객들이 다녀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군 거주 인원인 2만438명 보다 104배 이상의 수치다. 여기에 해병대 등 군부대와 직장 등을 이유로 섬지역에서 장기간 체류하는 인구도 많다.
군은 이들을 생활인구로 산정하면 정부의 지원 사업이 다양해져 인구 유입 정책에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군은 올해 인천~백령 대형여객선 유치, 대이작~소이작 및 장봉~모도 연도교 건설, K 관광섬 조성과 역사문화 복원, 친환경 첨단산업단지 유치 등 인구 유입과 밀접한 대형 사업들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거주 인원은 적지만 관광객 등 체류 인구까지 합하면 대도시 못지 않은 인구”라고 했다. 이어 “생활인구를 적용하면 정부 차원의 ‘맞춤형 지원 정책’의 적용 가능성이 높아 인구 유입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