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천156개 업체 대상 전망조사... '고원자재·고물가' 리스크로 꼽아
국내 제조기업 절반 이상이 내년 이후부터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천156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이 바라본 2024 경영·경제전망’ 조사를 실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이번 조사에서 ‘경기 회복 시점’을 묻는 질문에 10곳 중 5곳가량은 올해가 지난 이후를 짚었다.
구체적으로 ‘내년(2025년)부터’라고 답한 응답비율은 40.1%, ‘2026년 이후’는 16.9%로 나타났다. 이 외 ‘올해 하반기’는 34.2%, ‘올 상반기’ 또는 ‘이미 회복국면’은 8.8% 등이다.
또 올해 경영전략에 대한 질문에서는 ‘성장’에 방점을 찍은 기업이 적지 않았다.
‘성장 전략’을 선택한 기업(35.0%)은 ‘축소화 전략’(9.5%)에 비해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안정 전략’을 택한 기업이 55.5%로 가장 많아던 만큼 경기회복세를 더 지켜보자는 입장이 다수였다.
매출, 수출, 투자 등 구체적인 경영실적에 대해서도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부문별 응답 결과를 보면 수출의 경우 ‘동일 수준’을 전망한 기업이 44.3%로 가장 많았던 반면, ‘증가’ 구간을 꼽은 기업이 27.7%, ‘감소’ 구간을 꼽은 기업이 28.0%로 비슷했다.
투자의 경우에도 ‘동일 수준’을 전망한 기업이 46.4%로 가장 많았고, ‘감소’ 구간을 꼽은 기업이 29.5%, ‘증가’ 구간을 꼽은 기업이 24.1%였다. 매출은 작년과 비교해 ‘증가’(34.5%), ‘동일 수준’(31.5%), ‘감소’(34.0%)로 응답하면서 구간별 응답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기업들은 올해 가장 위협적인 대내외 리스크로 ‘고원자재가·고유가’(51.1%), ‘고금리 등 자금조달부담’(46.6%)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으로 ▲인력수급 및 노사갈등(21.6%) ▲수출부진 장기화(20.0%) ▲전쟁 등 돌발이슈(14.2%) ▲고환율 등 외환리스크 13.0% ▲원부자재 조달애로 10.6% 순(복수응답)이다.
또한, 올해 우리경제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로 기업들은 ‘물가관리 및 금리정상화’를 71.0%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기업부담규제 완화’ 31.2%, ‘수출경쟁력 강화’ 27.0%, ‘노동시장 개혁’ 21.7%, ‘미중갈등 등 대외위험 관리’ 19.8%, ‘국가전략산업 지원 확대’ 11.9% 등 순으로 응답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지난해 말부터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이를 체감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위기를 혁신의 동력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모두 고물가·고금리 등 당면한 위험요인에 대비하고 신산업분야 투자 및 지원을 통해 장기적으로 잠재력을 확보해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의의 이번 조사는 지난달 4일부터 15일까지 이메일 및 팩스로 진행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