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희소식’… 소상공인 ‘날벼락’… 소비자는 ‘환영’ 대도시·수도권 외 영업 제한 시간 ‘온라인 배송’도 허용
정부가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 휴업을 폐지한다고 밝힌 데 따라 대형마트와 소상공업계의 희비가 극명히 갈리는 모습이다.
정부는 22일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해야 하는 원칙을 폐기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평일에 휴업할 수 있도록 하고 대도시와 수도권 외 지역에도 새벽 배송이 활성화되도록 대형마트의 영업 제한 시간 온라인 배송도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오히려 의무휴업을 평일로 전환한 지자체의 경우 주변 상권이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여 소상공인에게도 좋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며 “그중 소비자 편익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면 소상공인들은 이번 조치에 반발하고 나섰다. 소상공인연합회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 이상백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장은 “경제 균형 발전과 노동자 휴일 보장 등을 위해 마련된 정책이 ‘소비자 편의’만을 위해 없어진다니 당황스럽다”며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골목상권과 전통시장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사회 안전망인데, 경기도 안 좋은 상황에서 정부가 폐지를 결정해 후폭풍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처럼 대형마트와 소상공인 간 분위기가 엇갈리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의무 휴업 폐지 결정을 반기는 분위기다.
주부 김모씨(성남시 분당구·61)는 “주말에 장을 보려고 대형마트에 갔다가 영업하지 않아 허탕을 친 적도 있다”며 “앞으로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어 편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정부는 통신사, 유통점 간 자유로운 지원금 경쟁을 촉진하고 국민이 저렴하게 휴대전화 단말을 구입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 유통법도 폐지한다고 밝혔다.
이동통신유통협회는 “이번 조치로 건전한 유통 질서를 저해했던 것들이 해소되길 바란다”고 말한 반면 한 이통사 관계자는 “(단통법 폐지로) 지원금 규제를 해제하게 된다면 출혈 경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