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계문자박물관, 관람객 60만명 돌파…대표 박물관 우뚝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이집트 문자 형상에 대한 전시를 보고 있다. 박물관 제공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이집트 문자 형상에 대한 전시를 보고 있다. 박물관 제공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이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서 문을 연 지 6개월 만에 누적 관람객 수 60만명을 돌파했다.

 

30일 문자박물관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총 관람객수가 60만356명에 달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을 제외한 13개 지방국립박물관의 평균 관람객 수인 20만명을 웃도는 수치다.

 

지난해 12월19일부터 열고 있는 2번째 특별기획전 ‘문자와 삽화-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를 만나다’에 대한 호응도 높다. 개막 1개월 안에 누적 관람객 1만명을 넘어선 데다, 주말 최다 관람객은 1천985명이다. 이 기획전은 ‘북유럽의 다빈치’로 불리는 알브레히트 뒤러의 작품 원본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다. 국내에 선보인 것은 1996년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이후 27년 만이다.

 

문자박물관은 뒤러를 대표하는 3대 목판화 성모 마리아의 생애, 대수난, 묵시록과 4대 동판화 아담과 하와, 기마병, 서재의 성, 히에로니무스 등 55점을 전시했다.

 

특히 문자박물관은 이 같은 흥행이 화제성과 접근성, 독특한 외관, 전시 콘텐츠 등이 어우러진 결과로 보고 있다. 지역에 처음으로 생긴 국립박물관인만큼 지역 주민들의 기대가 높았다. 또 세계에서 3번째인 ‘문자 전문 박물관’에 대한 기대감도 한 몫을 했다.

 

문자박물관은 넓게 조성한 송도 센트럴파크와 연계, 공원과 함께 박물관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산책로로 자리 잡았다고 보고 있다. 또 외곽 디자인과 공공미술 작품도 눈길을 끌었다.

 

문자박물관은 한국어를 비롯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아랍어 등 9개 언어로 전시를 설명하고 있다.

 

김성헌 국립세계문자박물관장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 문자가 되고, 문자가 예술로 승화됐을 때, 문자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고 했다. 이어 “많은 관람객이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방문해 ‘총체적 문화예술 측면’에서 문자를 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