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칼을 들고 덤비는데, 맨주먹으로 상대할 수는 없다” “민주개혁선거대연합’을 구축해 승리를 이끌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인천 계양을)가 4·10 총선에 적용할 비례대표 선출제와 관련해 “과거 회귀가 아닌, 준연동제 안에서 승리의 길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5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이번 총선에 적용할 비례선출제도가 논란”이라며 “지난 총선부터 병립형을 준연동형으로 바꿨으나 국민의힘이 위성정당을 창당하고, 민주당이 맞대응 함으로써 그 목적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위성정당을 금지시키라는 국민적 요구에 따라, 민주당은 위성정당 금지 입법에 노력했지만 여당의 반대로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거대양당 한쪽이 위성정당을 만들면, 패배를 각오하지 않는 한 다른 쪽도 맞대응할 수밖에 없다”며 “칼을 들고 덤비는데, 맨주먹으로 상대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거 때마다 반복될 위성정당 논란을 없애고, 준연동제는 사실상 껍데기만 남는 이 악순환을 피하려면 위성정당을 금지시켜야 하지만, 여당이 반대한다”며 “그렇다고 병립형 회귀를 민주당이 수용할 수도 없다”고 비판했다.
또 “그래서 민주당은 제3의 길을 추진했다. 국민의힘이 요구하는 병립형 비례를 채택하되, 민주당의 오랜 당론인 권역별 비례에 이중 등록을 허용하고, 소수정당을 위한 의석 30% 할당 또는 권역별 최소득표율 3%에 1석 우선배정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그러나 여당은 소수정당 보호와 이중등록을 끝내 반대했다. 민주당은, 권역별 병립형으로 회귀하거나, 준연동제에서 여당의 반칙에 대응책을 마련하거나, 양자 중 택일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이 대표는 정권심판과 역사의 전진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과 함께 위성정당 반칙에 대응하면서 준연동제의 취지를 살리는 통합형비례정당을 준비할 계획이다.
이는 선거제 개편의 주도권을 쥔 이 대표가 사실상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민주개혁선거대연합’을 구축해 민주당의 승리, 국민의 승리를 이끌겠다” “민주개혁세력의 맏형으로서, 민주당이 주도적으로 그 책임을 다하겠다”고 피력했다.
특히 이 대표는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반칙이 가능하도록 불완전한 입법을 한 것과 약속드린 위성정당 금지 입법을 하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결국 준(準)위성정당을 창당하게 된 점을 사과드린다. 같이 칼을 들 수는 없지만 방패라도 들어야 하는 불가피함을 조금이나마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