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의사 300명 '의대증원 반발'… 市, 비상대책 나서

image
인천광역시의사회가 13일 오후 인천 미추홀 인천광역시의사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조병석기자

 

인천에서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대하는 의사회가 집단 행동에 나서는 등 의사들의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인천시의사회는 13일 인천 미추홀구 의사회 대회의실에서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를 열고 정부의 정원 확대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이날 궐기대회는 인천지역 10개 군·구의사회 소속 300여명의 의사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정부의 의대정원을 포함한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의 원점 재논의를 요구한다”며 “이를 관철 시킬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올해 치러지는 입시부터 의대 입학 정원을 현재보다 2천명 늘리고, 2035년까지 최대 1만명의 의사 인력을 확충할 방침이다. 또 급여‧비급여 혼합진료 금지, 개원 면허제 및 갱신, 총액계약제 지불체계 등의 정책도 내놨다.

 

하지만 인천의사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대한민국은 평균 수명이나 연간 의료 이용 건수, 병상·의료기관 수 등의 지표가 최상위권인데도 단순히 인구 1천명 당 의사 숫자가 적다는 이유로 이 같은 의대 정원 확대는 불합리하다고 보고 있다.

 

image
이광래 인천광역시의사회 회장이 13일 오후 인천 미추홀 인천광역시의사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병석기자

 

이광래 인천의사회장 “정부의 필수의료 패키지는 대한민국 의료를 망가뜨리는 의료멸망 패키지”라며 “전공의와 학생들과 함께 그들의 미래를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 등 보건 당국은 의사 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상황실을 설치하는 등 비상진료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시는 공공의료기관의 비상 진료를 위한 협조 등을 요청, 진료시간 연장 및 주말 진료 등에 나설 계획이다. 비상 진료 병원은 인천시의료원(백령병원 포함),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인천보훈병원, 인천적십자병원, 경인권역재활병원 등 6곳이다.

 

시는 이 같은 의사 파업 사태가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일선 병원 등의 의료 공백 발생 여부 등에 대해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일단 시민들이 병원 이용 등에 불편이 없도록 공공병원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다른 병원에도 협조 등을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