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빅5병원 전공의 '20일부터 근무 안 한다'

대전협-전공의 대표 간 논의 결과...19일까지 사직서 제출
경기도에도 영향 불가피...도내 환자 불편에 병원 업무 가중 우려 
정부,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병원 이탈 시 업무복귀 명령

지난 14일 서울의 한 대학 병원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14일 서울의 한 대학 병원의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 대형 병원들인 '빅5' 병원 전공의들이 전원 사직하기로 했다.

 

빅5 병원은 서울대·연대 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을 말한다.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는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정부의 의대 증원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긴급 논의한 결과, 이들 병원의 전공의 전원이 오는 19일까지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부터 근무하지 않는다고 16일 밝혔다.

 

대전협은 빅5 병원 대표들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전공의가 근무하는 전체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사직서 제출 참여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전공의는 인턴과 레지던트 등 응급실이나 수술실 등 필수의료 분야를 맡고 있다. 이들의 병원을 떠날 경우, 전문의와 간호사 등 나머지 인력만으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워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 

 

지난 2020년 의대 증원 추진에 반발한 전공의 80% 이상이 현장을 벗어나자, 정부가 한발 양보하기도 했었다.

 

경기도에도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 인접한 곳에 살거나 환자 질환 등에 따라 이들 병원을 이용하는 경기도민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이들 5개 병원에서 이뤄진 암 치료 진료인원의 거주지가 도내인 경우가 14만7천500여명에 달했다. 

 

이들 병원의 의료 공백으로 응급 상황 시 아주대 병원 등으로 전원이 불가피하거나 진료 수요가 몰릴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도내 병원의 의료 서비스 질 저하뿐 아니라 제때 필요한 의료 서비스 제공에도 어려움이 발생한다. 

 

'빅5'로 불리는 5대 대형병원 의사 중 전공의 비중은 37%에 달한다. 이들 병원에 이어 전국의 다른 병원 전공의들도 집단 사직에 동참할 가능성이 크다.

 

전북 익산의 원광대병원은 지난 15일 22개 과 전공의 126명 전원이 사직서를 냈다고 밝혔다. 이들은 다음 달 15일까지 수련한 뒤 16일부터 근무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13일 오후 인천 미추홀 인천광역시의사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인천광역시의사회의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 모습. 조병석기자
지난 13일 오후 인천 미추홀 인천광역시의사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인천광역시의사회의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 모습. 조병석기자

 

정부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대해 의사 면허 취소 등 엄정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다. 모든 수련병원에는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를 명령했고, 대한의사협회(의협) 등 의사단체에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내렸다.

 

복지부는 전공의 등이 의료현장을 벗어날 경우, 개별 전공의마다 '업무개시(복귀)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징계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의료법에 따르면 복지부 장관과 시·도지사는 의료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중단하거나, 의료기관 개설자가 집단으로 휴업하거나 폐업해 환자 진료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으면 '업무개시'를 명령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의협은 오는 17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의대 증원을 저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향후 계획을 결정한다. 전 회원을 대상으로 집단행동 찬반을 묻는 투표도 진행하기로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