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이자비용 감당 어려워"

건설기업 절반 이상 "하반기 자금사정도 현재와 비슷할 듯"
"금리 부담 낮추고 부동산 연착륙 위한 규제 완화 필요" 지적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국내 건설기업 10곳 중 7곳은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이자비용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500대 건설기업 자금사정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76.4%가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에서 이자비용조차 감당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image
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최근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평년과 비슷하다'(43.1%)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곤란하다'는 답변도 38.3%로 '양호하다'(18.6%)는 답변의 2배에 달했다.

 

하반기 자금사정 전망도 비슷(52.9%), 악화(33.4%), 호전(13.7%) 순으로 조사돼, 한경협은 연말까지 건설업종 자금난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금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 (31.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높은 차입 금리(24.5%), 신규계약 축소(16.7%) 순이었다. 고물가와 고금리가 자금사정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에 대한 물음에는 응답기업의 76.4%가 현재 기준금리 수준(3.50%)에서 이미 임계치를 넘었다고 응답했다. 현 기준금리 수준에서 여유가 있는 기업은 17.7%에 그쳤다.

 

image
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올해 연말 우리나라 기준금리 수준에 대한 전망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 기업들은 3.50%(32.4%), 3.25%(30.4%), 3.00%(15.7%), 3.75%(15.7%) 순으로 꼽았다.

 

응답기업의 65.7%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올해 하반기 기업들의 자금수요가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자금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응답한 기업(26.4%)이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7.9%)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자금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협력업체 공사대금 지급'(32.4%)이 가장 많았고, 선투자 사업 추진(17.6%), 원자재‧장비 구입(16.7%) 등의 순이었다.

 

image
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건설기업은 주로 금융기관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며, 자금조달 시 높은 대출 금리와 수수료로 인해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자금조달 방식으로 금융기관 차입(72.5%), 내부유보자금 활용(17.6%), 회사채 발행(4.9%) 등을 꼽았다. 자금 조달 시 최대 애로사항으로는 높은 대출금리 및 각종 수수료(75.5%), 과도한 연대보증 및 담보 요구(10.8%) 등을 지적했다.

 

안정적인 자금관리를 위한 정책과제로 금리부담 및 수수료 수준 완화(39.2%), 공급망 관리를 통한 원자재 가격 안정화(16.7%),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완화(16.7%) 등을 들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건설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자금사정이 악화하고 있다"며 "건설업계가 한계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금리‧수수료 부담 완화, 원자재 가격 안정화, 준공기한 연장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