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부터… 도교육청, 학폭 전담조사관 채용 ‘삐끗’

700여명→506명 위촉 발표 정정
내달 학교 현장 투입 차질 우려
중복 합격 원인… 부실 행정 지적
추가 모집공고 공백 최소화 해명

자료사진. 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 이미지투데이

 

경기도교육청이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을 채용하면서 교육지원청별로 동일한 인물을 조사관으로 뽑는 등 혼선을 빚었다. 도교육청의 부실한 행정으로 700여명이던 전담조사관이 500여명으로 줄면서 당장 다음 달부터 학교 현장에 투입돼야 할 일정에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교육청은 전날 학폭 전담조사관 700여명을 채용했다고 대대적인 홍보를 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25개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 학폭 전담조사관 730여명을 채용하기 위한 예산을 편성했다. 이후 지난 1월부터 교육지원청별로 전담조사관을 모집, 총 783명이 지원해 심사를 거쳤고 전날 700여명을 위촉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다음날인 이날 급하게 학폭 전담조사관 506명이 투입된다고 말을 바꿨다. 합격자 발표를 마친 뒤 이날부터 오는 29일까지 진행되는 합격자 연수를 앞두고 복수 교육지원청에 지원해 중복합격된 조사관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실은 도교육청이 연수를 하기 전 각 지원청 선발 단계에서는 발견조차 되지 않았다.

 

결국 도교육청의 부실한 행정으로 학폭 전담조사관의 채용과 발표 과정에서 혼선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도교육청은 추가적인 모집공고를 내 200여명의 공백을 채우겠다는 입장이다. 중복 합격자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일부 교육지원청은 이날 바로 채용공고를 게시했다.

 

그러나 면접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데다 약 10일간의 교육까지 받아야 해 정상적인 현장 투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폭력 문제는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당장 현장에선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인력이 부족한 지원청을 중심으로 수시 채용해 공백을 메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학교폭력전담조사관은 최근 늘어난 학교폭력에 대응하고자 학교폭력 사안조사를 교사 대신 맡도록 하기 위해 신설됐다. 퇴직교원 또는 경찰, 청소년 선도·보호·상담 활동 등의 유경력자로 구성되며, 학교폭력 사안이 접수되면 학교를 방문해 해당 사안을 조사하고 보고서를 작성해 학교폭력 전담기구, 사례회의·심의위원회 등 회의에 참석해 조사 결과를 보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