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7월부터 '별밤버스' 운영…자동결제 ‘태그리스’ 시스템도 도입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이 29일 오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7월부터 새벽까지 송내·계양·검암·청라국제도시역에서 도심을 오가는 ‘별밤버스’ 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황남건기자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이 29일 오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7월부터 새벽까지 송내·계양·검암·청라국제도시역에서 도심을 오가는 ‘별밤버스’ 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황남건기자

 

인천시가 오는 7월부터 새벽까지 송내·계양·검암·청라국제도시역에서 도심을 오가는 ‘별밤버스’를 운영한다.

 

김준성 시 교통국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이 같은 ‘별밤버스’ 사업을 발표했다.

 

시는 오는 7월부터 지하철 마지막 운행시간을 고려해 오후 11시20분~다음날 오전 1시40분 이들 4개역에서 지역 곳곳을 오가는 버스 8대를 시범 운행한다. 운행요금은 2천500원이다.

 

시는 이를 통해 심야시간대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재정부담을 줄이고, 이동편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시범운행을 통해 심야버스 도입 효과를 분석하고 사업 지속·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김 국장은 “별밤버스를 운영해보면서 시 재정상황에 따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는 지역 도시철도 모든 역사에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자동으로 교통요금을 결제하는 ‘태그리스(Tag Less)’ 시스템을 설치할 예정이다. 통상 역사마다 4~8개씩 있는 게이트에 1개 이상 설치하겠다는 것이다. 김 국장은 “시각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의 게이트 통과 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역사에 태그리스 게이트를 도입하려고 한다”고 했다.

 

이 밖에도 시는 지상 승강장에서 열차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무더위와 한파로 인한 불편을 줄이기 위해 계양역등 9개역 승강장에 부스형 쉼터도 조성한다.

 

김 국장은 “시민들이 불편함 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 사각지대를 없애고,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사업을 계획했다”며 “앞으로도 이들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확대·개선시키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