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하고 치밀해져'…경기남부경찰청, 보이스피싱 전면전 선포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의 형태가 복잡해지고 치밀해지는 추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경찰이 대대적인 수사에 나서며 피의자 검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형사기동대는 범죄단체조직 및 사기 혐의로 보이스피싱 조직 총책 30대 A씨를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4일 밝혔다.

 

A씨는 2016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필리핀에서 보이스피싱 범죄단체를 조직해 금융기관을 사칭, 피해자 104명에게 대출을 해줄 것처럼 속여 3억3천여만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지난 2022년 8월 별건 보이스피싱 사건을 수사하던 중 A씨가 조직에서 독립해 범행을 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해왔다. 그 결과 경찰은 A씨를 비롯한 8명이 공모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저지른 전모를 밝혀내 지난해 3~5월 공범 4명을 검거하고 최근에는 국내에 들어온 A씨를 붙잡아 수사한 뒤 지난달 20일 구속했다.

 

같은 시기 안산단원경찰서는 검찰을 사칭해 11명의 피해자로부터 2억8천만원을 뜯어낸 20대 여성 B씨를 입건했다. 또 같은 달 23일 시흥경찰서도 대부 업체를 사칭해 “딸을 데리고 있으니 2천만원을 가지고 와라”라며 70대 남성에게 돈을 받아내려고 한 중국 국적의 40대 C씨를 구속했다.

 

이밖에 안산단원경찰서 원곡파출소는 지난달 27일 외국인들이 ATM으로 계속 돈을 인출해 수상하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즉시 출동해 피싱 용의자 2명을 현장에서 체포하고 이들이 소지하고 있던 현금 2천380만원을 압수하기도 했다.

 

이처럼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진화하면서 경기남부경찰청은 기존 형사과·수사과·사이버수사과 등에서 분담해 진행하던 관련 수사 체계를 형사 부서로 일원화했다. 이를 위해 경찰은 형사기동대 151명 중 총책 검거에 경험이 많은 경찰 30명(5개반)을 피싱 전담팀으로 편성했다.

 

또 일선 경찰서 형사과에도 보이스피싱 전담팀을 신설해 사건을 전담하도록 했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역량을 총 집결해 국내·외 범죄조직에 대한 전면전을 전개할 예정”이라며 “신고자 포상제도 활성화, 제보를 위한 금융기관 연계 활동 등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경기남부지역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사건은 총 3천51건이며, 이로 인한 피해 금액은 일평균 2천400만원에 이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