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떠난 전공의들 ‘요지부동’… 커지는 의료 공백

정부 엄정 대응 방침에도 전공의들 복귀 ‘미미’
지역 곳곳에선 인턴·전임의 임용·재계약 포기도
경기남부청 “집단행동 관련 고발되면 즉각 수사”
의대 증원 신청 마감… “전국 2천명 넘을 전망”

자료사진. 경기일보DB
자료사진. 경기일보DB

 

정부가 의료 현장에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 절차를 시작했지만,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복귀 시한을 지나서도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데다 새로 의료 현장을 맡게 될 인턴과 레지던트 1년차마저 대거 임용을 포기하며 의료 공백이 점차 커지는 모습이다.

 

정부는 4일 현장 점검을 통해 업무개시명령 위반 여부를 확인하고, 위반 사실이 확인된 전공의들에게는 구제 없이 법에 따라 조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국 주요 수련병원에서는 사직서를 낸 전공의 상당수가 여전히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대형병원에서는 이렇다 할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도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지역 곳곳에선 인턴·전임의 임용이나 재계약 포기도 이어지고 있다.

 

전남의 한 대학병원에선 신규 전임의 임용 대상자 52명 중 21명이 최종 임용을 포기했고, 대전의 한 대학병원에선 전임의 7명 중 일부가 재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진주의 한 대학병원에선 이달부터 근무 예정이던 예비 인턴 40명 전원이 임용을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전임의나 인턴까지 의료 현장을 떠나며 전공의들의 이탈 공백을 메울 수 없게 됐다. 이에 일선 현장에서는 병상 가동률이 떨어지는 등 의료 공백이 커지는 모양새다.

 

정부가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에 따른 피해를 접수하기 위해 운영하는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는 지난달 19일부터 29일까지 총 781건의 상담이 접수됐다.

 

이와 관련, 홍기현 경기남부경찰청장은 “보건복지부가 오늘부터 면허 행정 처분 절차에 돌입한다고 언급한 만큼, 조만간 관련 고발 접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사안에 따라 즉각 고발 사건을 수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가 전국 40개 대학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의대 정원 수요조사에선 상당수 대학이 증원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대학이 기존 정원의 2배 이상의 정원을 신청하면서 증원 신청 총 규모는 정부가 앞서 늘리겠다고 한 2천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경인지역에선 정원이 40명인 아주대가 70~100명을, 정원 49명 규모의 인하대는 50명 안팎의 증원 신청을 할 것으로 파악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