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근무지 이탈 전공의에 대한 제재에 착수하면서 경기도와 일선 시·군이 의료계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도는 보건복지부와 주요 수련병원 전공의 복귀 현황을 파악하면서 권역 응급의료협의체 가동에 나서고, 시·군 사이에서는 보건소 진료 확대에 속속 동참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이르면 5일부터 복지부, 시·군과 지역 내 40개 수련병원 전공의 복귀 현황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복지부가 지난달 29일을 복귀 시 책임을 묻지 않는 ‘데드라인’으로 지정하고 지난 3일 ‘최대한 선처’ 선언을 거쳐 이날 면허 정지 조치에 들어간 데 따른 것이다.
복지부는 병원 규모, 전공의 수를 기준으로 상위 50개 병원은 자체 점검을, 51~100번째 병원은 도 등 광역지자체와 합동 점검한다. 이외 전공의 10명 이하 규모 병원은 시·군이 복귀 현황을 파악한다.
도내에는 40개 수련 병원이 있으며 도가 이 중 10여개를 확인하고, 나머지 30개를 각 시·군이 점검해 전공의 복귀 현황을 복지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복지부는 미복귀 전공의에게 면허 정지 등 제재 방침과 근거를 사전 통지하고, 당사자 의견 청취를 거쳐 실행에 나선다.
상황이 이렇자 도는 권역응급의료협의체 가동 준비에 나섰고 각 시·군은 ▲경기도의료원 지역 병원 및 보건소 진료 확대 ▲비응급 환자 병의원 이용 안내 ▲지역 병원 동향 파악 및 연장 근무 독려 등에 속속 나서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자체가 파악한 현황을 토대로 복지부가 모든 행정·사법 절차를 진행하는 구조”라며 “현황 파악과 별개로 지역 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각종 비상 진료 대책 수립, 지역 병원 소통 등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 사직 전공의 수는 지난달 29일 기준 33개 병원, 1천575명 규모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