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형병원 수술·병상 절반으로 ‘뚝’… 市, 재난관리기금 투입

야근 의료진 당직비 지원... 신규 채용 인건비 등 필요시 사용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의료대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야간 연장진료를 하고있는 인천 동구 인천의료원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경기일보 DB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의료대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야간 연장진료를 하고있는 인천 동구 인천의료원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 대형병원의 전공의 집단 사직서 제출 및 출근 거부 등으로 병상 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의료 공백이 현실화하고 있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현재 인천의 전체 전공의 540명 중 계약 미체결자는 인턴 148명 등 238명(44%)이며, 근무지 이탈 전공의는 380명에 이른다.

 

이로 인해 이들 전공의들이 근무하던 대형병원의 병상 가동률이 절반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재 가천대 길병원의 경우 지난 1주일간 병상 가동률은 51%에 불과하며, 인하대병원은 61% 수준이다. 전공의 이탈 초반 병상 가동율은 80%를 유지했지만, 장기화로 전문의 등의 피로감이 높아지면서 병상 가동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병원의 수술 건수도 전공의 부족으로 취소 및 연기가 이어지면서 평상시의 40~50% 수준으로 급감했다.

 

여기에 길병원은 응급실 내원 환자 수가 종전 170~180명에서 120명으로 줄어드는 등 33%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보건 당국은 집계했다.

 

이에 따라 대형병원들은 병동 통합을 검토하고 있다. 인하대병원과 길병원은 입원 환자 수가 적은 내과 관련 병동 등 2곳을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길병원의 한 의사는 “현재 급하지 않은 수술은 다 미뤄두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병동 통합 이야기도 나오는 등 병원 운영 자체가 빠듯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전공의 파업이 길어질수록 현장에 남은 의료진들이 더욱 힘들어 질 것”이라며 “언제까지 이어질지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대형병원의 차질로 인천지역의 공공의료기관은 비상 연장 진료를 하고 있다. 인천적십자병원은 주말 오전 8시30분~12시30분까지, 인천시의료원은 주밀진료 및 평일 오후 10시까지 2시간 연장해 운영 중이다. 인천시의료원 관계자는 “전문의들이 번갈아가면서 당직을 서는 형태”라며 “아직까지는 크게 부담이 없지만 이 같은 운영이 장기화할수록 의료진들의 피로도가 많이 쌓일 것”이라고 했다.

 

시는 이들 공공의료기관의 추가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재 의료진의 1일 100만~200만원의 당직비와 신규 채용에 대한 인건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보건복지부의 지원 금액 등 가이드라인을 기다리고 있다”며 “우선 의료진에 대한 당직비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공공병원 내부적으로 필요한 추가 예산 등을 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