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등재 이후 9년…강제노역 알리겠다는 약속 ‘감감무소식’
일제 강점기 수많은 조선인들이 끌려가 강제노역을 당했던 하시마(군함도) 탄광, 다카시마 탄광, 미이케 탄광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 9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강제노역’을 알리는 문구가 섬 어디에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1일 자신의 페이스북 게시물을 통해 세계유산에 등재된 하시마·다카시마·미이케 탄광 안내판을 소개하며 “직접 둘러보던 중 새로운 안내판이 많이 생긴 점을 확인했지만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인이 강제로 끌려와 노동했다는 점을 알리는 문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전했다.
또 “군함도의 경우 다국어 안내서와 투어를 담당하는 일본인 가이드는 강제노역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으며 오직 일본의 유산으로만 소개하고 있었다”며 “군함도 투어를 진행하는 한 여행사는 군함도 관련 자체 캐릭터를 개발하는 등 관광객 유치를 위한 대외적인 홍보만 강화하고 있었다”고 꼬집었다.
이에 서 교수는 “이는 지난해 도쿄에 위치한 군함도 전시관(산업유산정보센터)을 방문해 내부 전시물을 살펴봤을 때 강제노역에 대한 아무런 소개가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이런 일본 정부의 약속 불이행에 대해서 국제사회에 더 알려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이번에 답사한 하시마 탄광 등 세계유산 시설 현황 및 군함도 전시관의 약속 불이행 자료를 한데 묶어 조만간 유네스코 측에 고발할 예정”이라며 “이번에도 끝까지 한번 해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일본 정부는 2015년 메이지 유신 이후 산업혁명을 상징하는 세계유산으로 세 탄광을 등재할 때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9년째 지키지 않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