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역 여성·시민단체의 걱정이 크다. 4월 개최 될 예정인 ‘성인 엑스포’ 때문이다. 이들이 문제 삼는 것은 행사의 선정성이다. 명백한 성 착취 행사라고 비난하고 있다.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여성의 신체를 놀이로 소비한다고 규탄한다. 심각한 성폭력이라는 결론이다. 나선 단체가 한 둘이 아니다. 지역 내 7개 여성단체로 구성된 수원여성단체네트워크가 앞장섰다. 30여개 시민단체가 모인 수원시민사회단체협의회도 합류해 있다.
우려를 더하는 것은 개최 장소다. 초등학교로부터 반경 50m에 위치해 있다. 학교로부터 200m 이내는 교육환경보호구역, 50m 이내는 절대보호구역이다. 유해업소 등이 들어설 수 없다. 단체들은 이번 행사를 아동 유해 상업 행위로 보고 있다. 실제로 행사는 일정한 입장료를 받고 운영한다. 영업행위로 볼 여지가 많다. 교육 당국의 우려도 크다. 수원교육지원청이 수원특례시와 수원서부경찰서에 공문을 보내 협조를 요청했다.
교육청이 시에 요청한 협조는 시설물 철거 명령이다. 아직 시의 본격적인 대처 움직임은 없다. 시 나름대로 고충이 있기는 한 것 같다. 민간 전시장에서 민간이 개최하는 행사다. 시가 개최 여부를 강제할 근거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지난해에는 광명시에서 같은 행사가 열렸다. 1천여명이 관람객까지 모여들었다. 그때도 우려는 있었지만 광명시가 관여한 부분은 없다. 수원특례시는 현재 여성가족부에 유해업소 해석을 의뢰한 상태다.
정말 유권해석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것일까. 시가 할 선도 조치는 없는 것일까. 모든 행정이 반드시 법률에 근거하는 것만은 아니다. 시민 정서라는 게 있고, 이 역시 존중될 행정의 기준이다. 수십개 시민단체와 학부모들이 걱정하고 있다. 공기관인 교육청까지 나서서 막고 있다. 이쯤에 이르렀다면 시민 공론으로 봐야 한다. 작년에 광명에서 했다고 올해 수원에서도 해야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여건이 다르고, 분노가 다르다.
지난해 퀴어축제 현장을 대구시 공무원들이 덮쳤다. 도로 점용 요청을 불허하고, 시설물 행정대집행에 나섰다. 대구시는 대회 주최 측·경찰과 아직도 송사를 벌이고 있다. 법적으로 문제 없는 퀴어 축제였다. 그걸 막아선 홍준표 시장의 논거는 시민 정서였다. 많은 시민이 홍 시장을 지지했다고 전해진다. 하물며 학교 코앞에서 하는 성인 엑스포다. 여성단체·학부모·교육청이 난리다. 막을 수단을 찾아보는 것이 행정의 도리로 보인다.
시간이 많지 않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의 판단이 기다려지는 요 며칠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