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복지재단, “장애인 일자리 문화예술로 확대…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 필요”

경기복지재단, “장애인 일자리 문화예술로 확대…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 필요”

 

경기도내 장애인 문화예술 분야의 고용 증진을 위해 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기복지재단은 2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복지이슈 포커스 6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2022년 기준 장애인 고용률은 36.4%로 전체 고용률 63.0%보다 낮고, 고용된 장애인 중 비정규직의 비율은 59.1%에서 67.3%로 증가했다. 또 공공영역의 장애인 의무 고용률은 지난 2019년 3.4%에서 올해 3.8%로 증가했다. 다만 민간 영역 장애인 의무 고용률은 3.1%에 그쳤다.

 

이런 가운데 장애인 취업은 제조업 외 문화예술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나 낮은 수입이 단점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장애 예술인 고용지원을 위한 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장애인에게 안정적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민간 기업에선 장애 예술인 고용을 지원하는 방안이다.

 

이를 토대로 재단은 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의 사업 운영 주체로서 공연 활동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아트센터는 단원 공연 및 연습을 위한 전문교육 지원, 교육장소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재단은 또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문인력 배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원미정 재단 대표이사는 “장애인에게 있어 일자리는 생계유지뿐만 아니라 경제활동 참여를 통해 사회적 존재가치를 확인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며 “재단은 장애인 고용 기회 확대 등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