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노조, 28일 총파업 98.3%로 가결

서울역 앞을 지나는 서울 시내버스 모습. 연합뉴스
서울역 앞을 지나는 서울 시내버스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28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26일 파업 찬반 투표 결과, 찬성률 98.3%로 파업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투표에는 전체 조합원 1만8천133명 중 1만6천317명이 참여했고 찬성표는 1만6천46표로 집계됐다. 재적 조합원 대비 찬성률은 88.5%다.

 

이에 따라 서울시버스노조는 사측과 합의가 최종 무산될 경우, 28일 오전 4시부터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서울시버스노조에는 65개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중 파업에 참여할 수 있는 단체교섭 대상 회사는 61개사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시내버스 노사는 지난해 12월 28일부터 이달 23일까지 7차례 중앙노사교섭과 2차례 사전 조정회의를 통해 임금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임금 호봉별 시급 12.7% 인상 ▲호봉별 근속연수 1∼9호봉에서 1∼11호봉으로 변경 ▲정년 이후 조합원 1호봉 임금 지급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최근 5년간의 물가상승률 및 임금인상률과 비고할 대 과도한 요구”라며 맞서온 것으로 알려졌다.

 

버스조합은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노조 측 요구를 모두 수용하면 연간 1천841억∼1천923억원이 추가로 발생한다"며 "막대한 비용 증가는 결국 시민들의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노사는 27일 오후 2시 30분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조정 절차를 진행할 예정으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총파업이 시작된다.

 

한편 서울시는 노조 파업 시 발생할 수 있는 교통대란을 막기 위해 지하철 운행을 1일 202회 증회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한다.

 

또 출퇴근 혼잡시간대는 현재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 시간도 종착역 기준 새벽 2시까지 연장한다. 강남역, 잠실역, 사당역, 서울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등 혼잡도가 높은 17개 역사에는 질서유지 인력을 투입하기도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