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도정 업무 전반에 대한 인공지능(AI) 도입 방침을 밝히고 공직자에게 적극 활용을 주문했다.
이어 28개 공공기관 전체에 ‘도민 체감 가능한 성과를 내라’고 강조하고 의료 파업 장기화에 적극 대응할 것을 요청했다.
김 지사는 27일 도청에서 도정 열린회의를 열어 “AI에 기반으로 두고 도정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이라며 “간부들, 공공기관장들, 직원들까지 당장 큰 욕심 내지 말고 개별적으로 AI를 자기 일에 접목하는 시도를 해봤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어 김 지사는 “우선 저부터 태블릿PC에 챗GPT로 만든 AI 연설비서관을 넣어 시도하고 있다”며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노력하자”고 주문했다.
특히 김 지사는 산하 공공기관 28곳 전체를 향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라”며 공개 경고했다.
김 지사는 “28개 기관은 직원이 7천명에 이르고, 예산이 8조원이 넘는 도정의 아주 중요한 축”이라며 “기관 자율성 보장을 위해 여러 지침을 만들었고, 이제는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관장들을 향해 “결과·성과에 따라 필요하면 조치하겠다. 임기는 하라는 일이 제대로 지켜질 때 임기라고 여러 차례 얘기한 바 있다”며 “기관 간에 서로 칸막이 치고 자기 일만 다인 것처럼 하는 것은 마치 러닝머신에 올라가서 땀을 뻘뻘 흘리는데 한 발짝도 나가지 않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또 김 지사는 의료 파업 장기화에 따른 공공의료원 역할을 강조하며 적극 대응을 주문했다.
김 지사는 “지금 오병권 (행정1)부지사를 중심으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한 비상체계 가동에 나선 6개 공공 병원, 민간을 포함한 의료 기관 관계자들에게 감사를 표한다”며 “중앙 정부에서 정교한 비전·계획 없이 추진하며 발생하는 시행착오 또는 어려움이 도민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 대처해달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