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기존 기업→친환경 전환 ‘종합계획 수립 용역’ 이달 착수 자원순환·대기관리 등 유관업체 기술 지원 ‘해외시장 개척’ 도와
경기도가 ‘경기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도내 환경 기업을 친환경 기업으로 전환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환경 시장 규모 확대와 RE100(재생 에너지 100% 사용)이 요구됨에 따라 친환경으로 노선을 바꾼 도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게끔 만들 계획이다.
3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르면 4월 중 도내 환경 기술·정책 지원과 기존 기업을 친환경 기업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은 ‘환경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착수한다. 용역 비용은 9천980만원이며, 기간은 오는 12월31일까지다.
도는 친환경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도내 기업 성장과 RE100 등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이번 용역을 추진했다. 일례로 전 세계 137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했던 지난 2022년 10월 기준 신재생에너지 시장 규모는 1조1천억원, 전기차 산업은 273조원 규모로 파악되는 등 관련 시장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도는 도내 자원순환, 대기관리 등 총 1만7천400여곳의 도내 환경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정책지원에 나서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등 분야별 해외 시장 주요 대응 전략을 도출할 복안이다.
우선 도는 탄소중립 이행과 자원 순환경제 전환에 기여할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 전환 등 RE100 핵심기술 및 정책자금 마련 등의 청사진을 도내 기업에 제시한다.
이는 세계 각국 기업들이 협력 업체들에 RE100, 즉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요구하는 데다 유럽 국가들이 오는 2026년부터 탄소배출이 많은 수입품에 국경세를 부과하는 데 따른 조치다.
이를 통해 도내 환경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친환경 기업으로 전환하게 하는 동시에 경기도 입장에선 RE100, 기후테크 등의 정책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내 기업들이 기존 산업에 머무르지 않고 미래 산업이 요구하는 분야까지 확장하는 환경산업 육성 계획을 구축, 단계별 로드맵으로 신산업·기술을 마련하게 할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친환경 기업에 대한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뜻이다.
도 관계자는 “환경 산업의 성장 가능성은 큰 만큼 중장기 계획을 통해 도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고자 한다”며 “도내 기업들을 친환경 기업으로 전환을 돕고, 신산업을 주도할 방법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