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심뇌혈관질환·식중독 주의보 자주 손 씻기 등 건강한 생활습관 기본 꾸준한 운동과 과일·채소 섭취 큰 도움
봄이 시작되면 잦은 기온 변화와 건조한 공기로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의 도움말로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변화하는 환절기에 챙겨야 하는 건강 관리법을 알아봤다.
■ 봄철 알레르기…비염, 천식, 알레르기 결막염
환절기에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많아진다. 알레르기 비염에 걸리면 연속적이고 발작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의 흐름, 코 막힘, 눈이나 코 주위가 가려운 증상이 있다. 이 시기에는 알레르기 천식도 많이 발생한다. 공기를 흡입하면서 들어온 외부 알레르기 물질이 염증을 일으켜 기도가 수축되고 숨 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천명)가 난다. 또 가슴 답답함과 호흡곤란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봄에 많이 날리는 꽃가루, 황사 등으로 알레르기 결막염 환자도 늘어난다. 알레르기 비염으로 일주일 이상 재채기, 콧물, 코 막힘이 지속된다면 가급적 빨리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대로 방치하면 이차 감염이나 합병증으로 부비동염, 물혹, 급성 축농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알레르기 결막염에 걸렸을 때는 가려운 눈을 손으로 비비는 대신 냉찜질을 하고, 꽃가루나 황사,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심뇌혈관 질환도 주의
아침, 저녁으로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도 수축한다. 이때 좁아진 혈관에 의해 협심증이 발생하거나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아 심근경색이 일어나기도 한다. 협심증,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119에 도움을 요청해 최대한 빨리 가장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이송해야 한다. 구조대가 오기 전 환자가 구토를 하면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고 손과 발, 다리는 함부로 주무르지 않는다. 의식이 혼미한 환자의 뺨을 때리거나 찬물을 끼얹지 말아야 하며, 물이나 약을 줘도 안 된다.
■ 감염성 질환…노로바이러스·퍼프린젠스균 식중독 유의해야
노로바이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 등은 봄철에 식중독을 일으키는 미생물이다.
노로바이러스는 겨울에 발병한다고 알고 있지만 면역력이 저하되는 환절기에도 자주 발생한다. 오염된 음식(특히 어패류)이나 물을 마셨을 때, 감염자와 직접 접촉했을 때, 손을 씻지 않은 감염자가 만진 물건을 만졌을 때 감염될 수 있다. 영하 20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오랜 시간 생존하며, 소량의 바이러스로도 쉽게 감염된다.
퍼프린젠스균은 사계절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많은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해 산소와 접촉면이 적거나 조리된 음식을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 잘 발생한다.
설사, 복통 등 가벼운 증상 후 대개 24시간 이내 회복되지만, 영아나 노인은 1~2주간 탈수 증상을 보이면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봄철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한 생활습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자주 손을 씻고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하루에 한 번 실내 환기를 하고 ▲따뜻한 차와 물을 충분히 마시고 ▲실내는 적정 온도(19~23℃)와 습도(50%)를 유지하며 ▲매일 30분씩 적절한 운동과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비타민 D와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비타민 C, 다양한 과일과 채소를 함께 챙겨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