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물가 상승률이 약 3년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돌고 있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4%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3.1%)보다 0.3%포인트(p)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을 웃도는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현재까지 34개월째다.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절반 이상(25개·64.1%)의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상회했다.
물가 상승률은 비빔밥이 5.7%로 가장 높고 뒤이어 떡볶이(5.3%), 김밥(5.3%), 냉면(5.2%), 구내식당식사비(5.1%), 햄버거(5.0%) 등 순이었다. 39개 품목 중 물가가 내린 품목은 없었다.
다만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4%로 평균보다 1.7%p 낮았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26개월 연속 평균을 웃돌다가 올해 2월에 역전 현상이 발생한 뒤 지난달까지 2개월째 평균을 밑돌았다.
지난달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에는 26개(35.6%)만 상승률이 평균을 넘었다.
설탕이 19.7%로 가장 높았고 소금(18.4%), 기타육류가공품(7.5%), 초콜릿(7.5%), 아이스크림(6.9%) 등이 뒤따랐다. 반면 차(-7.9%), 유산균(-5.6%), 시리얼(-4.5%), 라면(-3.9%), 탄산음료(-3.4%) 등 23개 품목은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런 둔화세를 체감하긴 어렵다. ‘러·우 전쟁’ 발발 이후 2년 누적으로 보면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아직 꽤 크기 때문이다.
지난달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오르는 데 그쳤지만 2년 전인 2022년 3월과 비교하면 10.3% 높았다. 외식도 1년 전보다 3.4% 올랐지만 2년 전보다 10.9% 높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이 2년 전 대비 7.4%인 것을 고려하면 가공식품과 외식이 아직 높은 셈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