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가 예전같지 않다. 고금리 기조와 아파트 미분양 사태 등으로 문 닫는 공사장이 늘었다. 본격 공사철이 시작됐지만 공사 현장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 4·10 총선 이후 건설업계가 줄도산할 것이라는 위기설까지 나오고 있다.
대형 건설사는 계열사 내부와 외부 금융기관의 자금 수혈로 급한 불을 끄고 있지만, 중견 또는 소규모 건설사는 업황 악화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 건설업 폐업 신고 건수가 1천건을 넘었다. 부도로 문을 닫기도 하지만 경영 악화나 자본금 유지 불가 등으로 면허 유지가 어려워 자진 폐업하는 경우가 많다.
건설공사가 크게 줄어 월 평균 100만명대를 기록하던 일용직 취업자가 올들어 40년 만에 최저치(2월 기준 87만7천명)를 기록했다. 공사장 일용직 근로자들의 한숨 소리가 크다. 아침 일찍 일감을 찾으러 나가지만 헛걸음하는 경우가 많다. 임금 단가가 낮은 외국인 노동자와의 경쟁에서 밀려 일감을 못 잡는다 한다.
인부들의 일당은 제각각이다. 시기별·직종별·현장별 단가 차이가 난다. 보통인부 기준 수도권 평균 일당이 12만~15만원 선이고, 충남 아래 쪽으로는 13만~16만원씩 한다. 똑같은 일을 해도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1만~2만원 낮은 편이다.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일감이 많지만 경쟁이 심하다 보니 내·외국인 모두 ‘몸값’을 낮추기 때문이다.
건설현장의 인력은 늙어가고 있다. 관련 인력 4명 중 1명이 60대 이상의 고령층이다. 김지혜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건설 기능 인력 중 60대 이상의 비중이 25.7%이고 평균 연령은 51.5세”라며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과 안전 문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할 사람이 부족해 고령 인구로 건설현장이 채워지는 이유는 임금 체계와 같은 근무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건설 분야는 몸은 힘들어도 일용직치고는 수당이 다른 분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짧은 기간에 용돈을 벌려는 청년들이 많았다.
하지만 건설업의 근무여건은 제자리걸음인데 코로나 이후 택배와 배달 등 다른 일거리가 증가해 건설현장에 뛰어드는 청년들이 줄었다. 빈자리는 장년층과 대부분 불법 체류자인 외국인 노동자가 메우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는 의사 소통이 힘들고, 장년층은 신체 능력이 떨어져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
정부는 건설산업 근무여건 개선과 고용지원·인센티브 확대, 교육훈련 같은 인재양성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힘들고 돈 못버는 3D 업종’이라는 인식 때문에 청년층 유입이 안 되는 고용구조 개선에 정부와 업계가 적극 나서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